본문 바로가기

바이오, 의학, 제약104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키트 수출 실적 정리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속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이 급증하고 있어서, 4월까지 실적을 정리해 보았다. 1. 전반적 현황: 4월 누계 수출액 기준 진단키트 수출은 1~2월까지는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추세에 따라 3~4월 들어 급증했다. 특히, 4월에는 전월대비 수출금액이 8.35배로 늘어나 2억 123만달러(약 2,466억원) 규모로 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출금액은 2억 2,598만달러(약 2,769억원)로 집계됐다. 이를 국가별로 보면 브라질이 3,015만달러(약 369억원)로 가장 높은 비중인 13.3%를 차지했다. 이어 국가별 비중은 이탈리아(9.9%), 인도(9.5%), 미국(7.9), 폴란드(6.6%), 아랍에미리트연합(4.. 2020. 5. 16.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선두 기업은 누구인가? 1. 글로벌 현황 5월 중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은 모더나(Moderna), 칸시노바이오(Cansinobio), 이노비오(Inovio), 시노박(Sinovac), 옥스포드 대학(Oxford Univ.), 바이오엔텍(Biontech), 시노팜(Sinopharm) 등인데, 이중 선두에 있는 업체는 미국 생명공학기업인 모더나(Moderna)이다. 이 가운데 제넥신과 같이 DNA 백신으로 디자인을 하는 곳은 이노비오 뿐이다. 나머지는 RNA 백신과 불활성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비자가복제 바이러스 벡터(Non-replicating Viral Vector)로 임상에 돌입했다. 세계 최대 임상시험 등기소인 미국국립보건원(.. 2020. 5. 16.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키트 & 진단법 완벽 정리 코로나 진단법에는 1) 분자진단법(RT PCR), 2) 배양법, 3) 항원 항체 검사법(신속·간이진단법) 등 3가지 진단법이 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 국내 코로나 확진 검사법으로 인정한 것은 이 중 1) RT PCR과 2) 배양법 2가지뿐이다. 1) RT PCT 법: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로나19 진단법으로, 정확도는 99%로 인정되며, 검사 시간은 3시간 ~ 6시간이다. 기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죽여 검사에 활용해 안전하다. 현재 국내 긴급사용 승인된 5개 코로나19 진단시약은 모두 이 방식을 사용하는 제품이다. 이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도 표준으로 간주되는 검사법이다. 검체에 있는 바이러스에서 핵산을 추출한 후 속에 담긴 바이러스 DNA를 수차례 복제하는 방식으로 늘린다. 이런 바이러스를 특정할 .. 2020. 5. 14.
RNA 기반 백신 - Moderna 임상 2상 승인 이어 올 여름 임상3상 돌입 예상, 내년 승인 및 시판 목표 론자와 10년간 파트너쉽 체결로 대량생산 능력 확보, 개발 기대감에 주가폭등 미국 코로나19 백신 개발 선두주자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 생명공학기업 모더나 테라퓨틱스(Moderna)가 FDA로부터 임상 2상 계획을 승인받은데 이어 올 여름에는 임상 3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 후보인 'mRNA1273'에 대한 FDA의 임상 2상 승인에 따라 조만간 60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3상 개시 시기를 올 가을에서 여름으로 앞당겨 2분기 안에 임상시험 최종단계인 3상 시험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임상 2상 허가 소식 이후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에 모더나 주식은 지난.. 2020. 5. 14.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 국내 제약사 관련 사항 및 주가 변화 코로나 확진자 발생 이후 제약바이오 기업 중, 4월 말까지 100일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은 진원생명과학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는 1월 20일 3,155원에서 지난 28일까지 8,645원이 올라 11,800원에 마감됐다. 3배에 달하는 274%의 상승을 거둔 것. 이어 씨젠(195%), 신풍제약(138%), 파미셀(130%), 부광약품(84%), 녹십자엠에스(71%), 일양약품(56%)의 주가도 급등한 것으로 확인됐다. 씨젠은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전세계에 공급하고 있는 상황으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코로나19 진단시약(제품명 Allplex 2019-nCoV Assay) 의 긴급사용을 승인받았다.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 진단시약이 부족한 상황에서 매출 확대가 주가 상승을 이끈.. 2020. 5. 14.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및 허가 현황 렘데시비르·클로로퀸, 美 응급사용 허가에 게임체인저 재 주목 미국에서 ‘렘데시비르’와 말라리아치료제 ‘클로로퀸’이 응급 사용 허가를 받음에 따라 미국 증시에서도 코로나19 사태 게임체인저로서 다시 재 주목되고 있다. 미국 금융전문매체 마켓워치(MaketWatch)는 “기존 제약사들과 소규모 바이오텍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 계획을 진척시키고 있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코로나19 감염증 치료를 위한 응급 사용을 두 건 허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매체는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Remdesivir), 그리고 말라리아 치료제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황산염(hydrochloroquine sulfate)과 인산클로로퀸(chloroquine phosphate)의 허가가 이에.. 2020.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