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용로봇7

산업용로봇과 협동로봇의 차이 1. 산업용로봇 “산업용 로봇”이라고 부르는 것은 보통 관절 형태의 로봇암 (Robot Arm)을 의미하며 학술적으로는 로봇 조작기 (Robot Manipulator)라고 한다. 로봇 조작기는 여러 개의 관절을 링크로 연쇄적으로 연결한 구조물이며, 이러한 이유로 다관절 로봇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링크는 구조적으로 관절을 연결하고 있는 구조물이며 특별한 움직임을 담당하지는 않으며 관절의 회전을 다른 링크에 전달하기 위한 역할로써 사용된다. 로봇팔의 관절 구조는 “감속기”라는 부품과 “서보모터”라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속기는 서보모터의 빠르고 낮은 힘의 회전을 느리고 높은 힘의 회전으로 변환해주는 동력 변환 장치이다. 모터는 빠르게 회전하지만 모터에 연결된 링크와 같은 부품들을 회전시키기에는 힘이 부.. 2024. 1. 30.
두산로보틱스 - 투자 가치가 있을까? 출처: 미래에셋증권, Dart, 두산로보틱스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457 로봇 산업 탐구: 부품 - 로봇 산업 성장 동반 수혜 1. 감속기는 지금도 좋고 앞으로도 좋아 전방의 로봇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로봇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관심도 유효하다. 로봇에 주로 사용되는 부품은 크게 모터, 감속기, 제어기기, 센 tristanchoi.tistory.com 2024. 1. 25.
로봇 산업 탐구: 협동로봇 - 열리는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성장 가능성도 큰 시장 협동 로봇은 전통 산업용 로봇을 사용하기 어려운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1 년 IFR 이 공개한 글로벌 협동 로봇 연간 설치 대수는 3.9 만대로 전년대비 무려 50% 늘어났다. Universal Robots 의 2022 년 협동 로봇 판매는 전년대비 12%(환율 효과 제거) 증가했고, 한국의 두산 로보틱스는 매출 규모가 전년대비 22%,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전년대비 약 50% 가량 성장 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시장이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통계 데이터는 없지만,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들은 협동 로봇 시장이 연간 20% 이상의 가파른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협동 로봇의 장점(가격, 유연성 등)을 바탕으.. 2023. 6. 25.
로봇 산업 탐구: 로봇 분야별 투자 전망 요약: 분야별 투자 전망 to-be continued.... 출처: 유진투자증권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408 로봇 산업 탐구: 로봇 부품에도 주목해야 함 1. 5가지 부품으로 완성되는 로봇 부품 제조사의 공급 체인은 2가지다. 1) 완제품 제조사에 판매, 2) 앤드유저 직접 판매다. 일부 로봇완제품 제조사는 자체적으로 부품을 생산·조달하기도 한다. tristanchoi.tistory.com 2023. 6. 24.
로봇 산업 탐구: 패러다임 변화의 주인공 ‘산업용 로봇’ 1. 인간의 팔을 모방한 산업용 로봇 로봇은 용도에 따라 산업용, 서비스용으로 분류된다. 산업용 로봇은 각 산업의 제조현장內 제품 생산부터 출하까지 공정 내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시 사람 과 협동유무로 협동 로봇과 그 외 산업용 로봇으로 구분하고 있다. ‘인간의 팔’을 대신하는 산업용 로봇에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용 로봇은 여러 형태를 가지지만 보편적으로 인간의 규칙적인 행위의 역할을 대신한다. 허리, 어깨, 팔꿈치 등을 모방하기 위해 통상 6개의 관절축을 활용하는 점이 특징 이다. 인지, 판단, 구동 기술 발전도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1년 산업용 로 봇의 연간설치 대수는 약 50만대이며 누적 설치대수는 3.5백만대에 육박한다. 4 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시장 진입은 더욱 빠.. 2023. 3. 17.
로봇 산업 탐구: 로봇 개발의 역사 1. 사회구조적 변화, 로봇 시장 성장 여력 높아 1.1. 2020년 세계GDP 순위 1) 미국: 20.9조 달러 2) 중국: 14.7조 달러 3) 일본: 5.4조 달러 4) 독일: 3.8조 달러 5) 영국: 2.7조 달러 6) 인도: 2.6조 달러 7) 프랑스: 2.6조 달러 8) 이탈리아: 1.9조 달러 9) 캐나다: 1.6조 달러 10) 한국: 1.6조 달러 1.2. GDP 상위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하락 및 고령화 추세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 생산가능인구가 처음 감소했으며, 합계출 산율이 전세계에서 가장 낮은 0.84명으로 집계됐던 2020년은 인구 자연감소 시작의 원년으로 기록됨. 오는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 (65세 이상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에 진입, 2045년에는 세 계 1위..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