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53

로봇 기술 탐구: 인공지능 용어 정리 새로운 개념들이 많아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퍼셉트론(Perceptron) 1958 년 프랑크 로젠블럿이 제시한 인공 신경망의 초기 개념이다. 인간의 뉴런이 신호를 주고받는 방식에서 노드를 착안하여 사람의 신경망과 유사한 인공 신경망을 구축했다. 활성화 함수 (Activation Function) 입력된 데이터의 가중 합을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인공 신경망의 직전 Layer 의 가중치 합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 (변환) 유무를 결정한다. 또한 신경망의 목적이나 Layer 의 역할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가중치 가중치는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Weight 로 표시한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은 각 노드의 비중치를 업데이트하며 이루어진다. 인공신경망의 비용함.. 2022. 12. 30.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네이버 대한민국 로봇의 최고 파워집단 – 네이버랩스 네이버는 포털을 중심으로 주로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기업집단이다. 하지만 오프라인에서 최고의 연구개발인력을 중심으로 자율주행과 로보틱스, AI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네이버랩스를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랩스는 실외에서 도로중심의 자율주행 솔루션을, 실내에서 로보틱스 솔루션을 개발해오고 있다. 이미 CES2019 에서 5G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기술을 로봇에 적용한 5G Cloud Robotics Ambidex 를 출시해 전세계에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후에도 기존 로봇들의 업데이트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개발했고, 로봇이 물리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AI 와 디지털트윈, 3D Mapping 에 관한 고민들을 지속해왔다. Arcverse .. 2022. 8. 25.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현대차 로봇 사용에 있어 가장 경험이 많은 자동차 회사, 모빌리티 로봇과 매니퓰레이터 로봇에 강점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자동차기업 중에서도 생산과정에서 산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가장 로봇을 잘 다루는 업체 중 하나이다. 이미 한국이 싱가폴과 더불어 로봇밀도 세계 1 위임은 잘 알려진 바다. 그 중에서도 압도적으로 로봇 사용량이 높은 인더스트리가 바로 자동차산업이다.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자동차업체 중 가장 빠른 생산속도(UPH)를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시간당 70 대가 넘는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거의 모든 공정에 로봇이 투입되어야 한다. 대부분 산업용 로봇의 Manipulator 에 다양한 End effector 를 부착하여 용접, 도색, 조립, 펀칭, 드릴링, 운반, Pick & place.. 2022. 8. 24.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LG전자 전략적 제휴와 인수 등으로 로봇 DNA 를 장착해 온 LG LG 는 삼성보다 더 먼저 로봇에 관심을 가져왔다. 이미 미국의 보사노바 로보틱스, SG 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아크릴, 로보스타, 로보티즈 등 전략적 투자와 제휴를 통해 LG 내에 로봇 DNA 를 이식해오고 있다. 2020 년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센터를 BS(Business Solution) 사업부문으로 배치하고 연구소도 신설했다. LG 전자는 CLOi 란 자체브랜드로 안내로봇, 홈로봇, 셰프봇, 서브봇, 살균봇 등 다양한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안내로봇, 서브봇 등이 디스플레이와 컴퓨터를 부착해 이동에 초점을 맞춘 모빌리티 기능을 위한 것이라면 셰프봇은 로봇팔(매니퓰레이터)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타사들이 로봇을 미래 먹거리로.. 2022. 8. 24.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삼성 보수적인 삼성그룹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지목된 로봇 삼성그룹은 신사업 진출에 있어 특히나 신중한 편이다. 다각도로 검토하고 몇차례나 확인을 해야 신규사업에 뛰어드는 경향이 있다. 가능성이 높다며 회자되었던 각종 M&A 에 있어서도 답답할 정도의 신중함을 견지해왔다. 그런 삼성까지 지금 이 시점에 로봇진출을 선언한 이유가 뭘까? 삼성테크윈이 주도하던 삼성의 로봇사업은 한화로의 매각 이후 유명무실해졌으나, 삼성종합기술원(DMC), 삼성리서치, 삼성중공업 위주로 명맥을 이어오다 삼성전자가 이를 이어받는 모양새다. 삼성은 최근 몇년간 CES 에서 로봇에 대한 언급을 많이 해오고 있다. 2019 년에는 삼성봇케어를, 20 년에는 볼리를, 21 년엔 봇핸디와 제트봇을, 22 년엔 AI 아바타와 봇아이를 각각 출시하.. 2022. 8. 24.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엔비디아 엔비디아 – 2 nd Stage AI 는 Robotics 라 선언 로봇산업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 곧 판단능력이다. 인지능력인 시각, 촉각, 청각은 센서기술의 발달로 이미 사람의 한계를 넘어섰지만 이를 해석하고 제어(행동)까지 연결시키는 판단능력은 여전히 부족하기에 수동적인 기계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판단의 핵심인 AI 의 완성도가 로봇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지금 로봇이 기술기업의 화두가 된 것도 AGI 는 아직 요원하되, 특정 영역에서의 AI 완성이 임박했다는 생각 때문이다. AI 의 성공여부는 엄밀히 말하면 추론(Inference)과 훈련(Training)의 반복, 즉 소프트웨어적 요소에 달려있다. 하지만 DL(Deep .. 2022.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