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9 국내 AI 반도체 선도업체 '리벨리온 - 사피온'의 합병 발표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대표주자인 사피온과 리벨리온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병을 결정했다. 이번 합병 추진은 국내 AI 반도체 기업간 대승적 통합을 통해 글로벌 AI인프라 전쟁에 나설 국가대표 기업을 만들겠다는데 양사가 합의한 결과다. 이를 두고 반도체 업계에서는 “잘한 결정”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국내 AI 반도체기업이 전세계 AI 반도체 시장에서 9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와 경쟁에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우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두 회사가 합병을 통해 기술을 강화하고 덩치가 커지면 승산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 단장은 “양사가 합병을 결정한 것은 잘한 일”이라며 “스타트업인 사피온, 리벨리온은 각자 칩을 개발하고 성과를 내는데 많은 부담이 .. 2024. 6. 13. 리벨리온(Rebellion, AI 반도체 기업) 투자유치 뒷 이야기 리벨리온은 지난 1월 1650억원 규모 투자금을 유치했다. 벤처 투자 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지난해 이후 모처럼 등장한 수천억원 규모 자금 유치 사례다. 이번 시리즈B(사업 확장 단계) 투자 유치 과정에서 리벨리온의 기업 가치는 88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2022년 6월(시리즈A)만 해도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3820억원에 불과했다. 리벨리온의 주요 투자사는 KT그룹이다. 이번에 330억원을 투자했다. 시리즈A에 투자한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의 파빌리온캐피털이 시리즈B 투자 때도 자금을 댔다. 프랑스 디지털경제부 장관을 지낸 플뢰르 펠르랭 대표가 설립한 코렐리아캐피탈, 일본계 벤처캐피털인 DG다이와벤처스(DGDV) 등이 신규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아래는 리벨리온의 CFO 신성규의 인터뷰 Q. 이번.. 2024. 3. 24. 만물 AI 시대로 진입 1. 낙수효과, AI 빈집이 없어진다. 1.1. 그 어떤 사이클보다 빠른 AI 속도전 챗GPT 출현 이후 AI H/W가 2023년 성장주를 이끌었다. AI 반도체와 클라우드, 무선인터넷과 같은 AI 인프라가 빠르게 준비되면서 시장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AI인프라 주요 종목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높은 주가 수익률을 기록했다. 챗 GPT, Bard 같은 대규모 인공지능 서비스의 대중화가 진행된 지금부터는 AI 밸류 체인 확산에 주목한다. AI가 다양한 사업에 침투하기 위한 S/W가 대표적이다. AI의 낙수효과는 2022년 시장을 관통했던 웹3.0과 블롯체인 열풍을 능가할 것이다. 웹3.0은 기술이 현실에 침투하기 전에 코인 버블이 병행되면서 기세의 연속력이 유지되지 못했다. 웹3.0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2024. 2. 8. AI반도체와 AI클라우드 AI 반도체 시장에서 클라우드 기업의 역할과 과제 AI 반도체가 개발된다고 해서 바로 클라우드 기업이 AI 반도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I 모델을 실제 하드웨어에서 연산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부터, 초거대 모델 학습을 위한 클러스터 구축, 그리고 온디맨드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의 융합까지 이뤄져야 비로소 그 위에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구축부터 AI 플랫폼까지 AI 반도체에서부터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기술, 서비스, 제품을 'AI 풀스택'이라고 한다. AI 반도체-클라우드-AI 서비스로 구성된 AI 풀스택에서 클라우드 기업이 담당하는 범위는 AI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를 구축하.. 2024. 2. 4. CES 2024에서 엿본 미래 - AI AI가 CES 2024의 핵심 테마로 부상하게 된 배경 CES 2024의 핵심 테마는 AI다. 슬로건 ‘All Together, All On’이라는 주제에 맞게 AI가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며 AI 기술의 융합을 강조한다. 핵심 테마로 부상하기 시작한 배경에는 '생성형 AI 열풍'을 뽑 을 수 있다. 2022년 말, ChatGPT의 등장을 필두로 생성형 AI 전쟁이 시작되었다. 2023년 빅테크는 초기시장 선점을 위해 생성형 AI 투자에 뛰어들었다. 실적발표마다 비용 통제 내에서도 AI 관련 CapEx는 유지하거나 확대한다는 코멘트를 거듭했다. 고금리로 인해 유동성이 악화됐던 시점을 고려하면, 빅테크는 AI를 핵심 먹거리로 낙점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고금리 해소가 .. 2024. 1. 25. 2024년 반도체 Cycle회복과 HBM 장비 수요 전망 1. 반도체 Cycle 회복 본격화 전방 산업의 수요 부진으로 2H22 반도체는 하락 Cycle에 진입했다. 고객사의 재고 조정에 따라 반도체 생산 업체 또한 강도 높은 공급 조절을 진행했다. 이에 2H23부터 수급 환경의 변화(초과공급 → 공급부족)가 시작됐다. 3Q23부터 고객 사들의 재고 정상화가 확인되고 있다. 다만 메모리 업체들의 재고는 3Q23 일부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메모리 공급사들의 공급 축소가 지속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공급 축소가 가속화됨에 따라 2023년 말 기준 메모리 업체들의 재고는 10주 내외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한다. 1Q24까지 공급 조절이 지속된다면 2H24부터는 공급자 중심의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되며 메모리 업황의 회복이.. 2024. 1.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