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에너지솔루션10

2차전지 기업 탐구: LG에너지솔루션 1. 소재 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어려움 2021 년 중국 전기차 판매 급증(NEV 2021 년 352 만대, 2020 년 134 만대)과 환경 규제, 코로나19 로 인한 생산 차질 등에 따라 배터리 소재 가격들이 급등한 상태다. 양극재의 주 원재료인 리튬, 니켈, 망간 가격은 최근 몇 년간 최고가를 넘은 상태며, 전해질 (LiPF6 등) 가격 급등에 따라 2021 년 상반기 적자를 기록하던 전해액 업체들도 지난 4 분기 20% 내외의 가격인상을 실시했다. 양극박의 원재료인 알루미늄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훌쩍 뛰어 넘었으며, 음극박의 원재료인 구리가격도 작년 고점 수준까지 상승한 상태다. 배터리 원가의 약 60% 내외가 소재 가격이며, 소재는 양극재 40%, 음극재 13%, 분리 막 13%, 전해액 11%.. 2022. 2. 22.
2차전지 산업 탐구: 배터리3사와 K양극재의 협력 확대 국내 주요 양극재 생산업체로는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LG화학(첨단소재) 등이 있다. 글로벌 배터리 판매 확대에 따라 양극재 수요도 증가하며 국내 기업들은 앞다투어 생산캐파를 확장 중에 있다. 생산캐파 측면에서 21년 기준 LG화학(8만톤), 에코프로비엠(5.9만톤), 엘앤에프(4.5만톤)순이고, 25년 기준으로는 에코프로비엠(29만톤), 포스코케미칼(27.5만톤), LG화학(21만톤)순으로 예상한다. 한편, LG화학을 비롯한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양극재 내재화를 하고 있거나 할 예정에 있지만 하이니켈 양극재의 경우 오래전부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존 양극재 전문업체들의 생산노하우와 기술력을 따라잡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 한다. 이에 글로벌 선두적인 하.. 2022. 2. 16.
2차전지 산업 탐구: 배터리 소재 국산화가 필요한 이유 1. K배터리 점유율(26%) 대비 빈약한 K소재 점유율(14%)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7월기준 전기차(BEV+PHEV) 침투율이 8%(20년 4%)에 달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럽의 침투율은 16.1%에 이르고, 중국은 14.8%, 미국은 4.5%로 산업은 구조적인 성장 국면에 위치해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수요 및 판매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한국의 배터리 셀 업체들은 기술경쟁력과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3사(LGES, SDI, SKI)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설치캐파기준 20년 26%(180GWh)에 서 23년 32%(465GWh), 25년 36%(785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규모에서 가장 앞서 있는 LGES는 21년 155GWh에서 23년 310GWh.. 2022. 2. 14.
2차전지 기업 탐구: 엘앤에프 1. 기업 개요 2000년 7월에 설립되어 원래는 LCD 모듈 BLU를 생산하는 업체였으나, 현재는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방열테이프 및 전극용 Paste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회사이다. 고(故) 허만정 LG그룹 창업주의 증손자인 허제홍 대표가 경영하고 있어서 LG그룹과 일정 부분 특수 관계 회사로 볼 수 있다. 코스닥에 상장된 것은 2003년 1월 2일이며, 2016년 2월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엘앤에프신소재와 흡수합병하였다. 대구에 위치한 본사 외에 중국에 자회사를 두고 있다. 당사 (주)엘앤에프 2차전지 양극활물질 종속회사 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 제이에이치화학공업(주) 2차전지 양극활물질 관련소재 2. 주요 제품 및 사업 국내 순수자본.. 2021.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