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비디아8

NVIDIA의 Blackwell 설계 결함 및 마스크 수정 이슈 최근에 엔비디아 주가 하락의 배경에는 차세대 AI 가속용 GPU인 '블랙웰'(Blackwell)의 생산 과정에서 마스크를 변경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짚어볼 필요가 있다.   마스크 변경의 배경과 블랙웰의 문제점 엔비디아는 지난 8월 말,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블랙웰 GPU의 생산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마스크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젠슨 황은 "포토마스크 변경이 완료됐다. 기능적인 변경은 필요하지 않았다. 현재 블랙웰, 그레이스 블랙웰, 그리고 다양한 시스템 구성의 기능 샘플을 샘플링하고 있다. 컴퓨텍스에서 선보인 약 100가지 유형의 블랙웰 기반 시스템이 구축돼 있으며, 엔비디아 생태계가 이를 샘플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블랙웰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며 4분기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4. 9. 12.
엔비디아와 TSMC 덕분에 대만에서 대박난 페라리 엔비디아발 반도체 호황으로 TSMC 등 대만 반도체 기업의 주가가 치솟자 럭셔리 스포츠카 페라리의 대만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전체 페라리의 판매 실적에서 페라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3년 만에 두 배가 된 것. 26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베네데토 비냐 페라리 최고경영자(CEO)는 대만의 부유층이 급증하면서 페라리 수요가 중국과 홍콩보다 빨리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냐 CEO는 "중국은 성장하고 있지만, 대만이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대만에는 더 많은 기업가들이 있고 반도체 산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페라리는 고객들이 개인화된 옵션을 추가한 덕분에 기록적인 연간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약 60억유로(약 8조6900억원), 순이익은 34.. 2024. 3. 26.
온디바이스 AI 구현을 위한 프로세서 업체들의 방향성 CPU 업체들은 본격적인 제품 다변화를 추진 스마트폰 온디바이스 AI 기능 구현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돼 있으나 시스템의 구조적인 면에서 PC 업종이 한 발 앞서 있다. S/W와 플랫폼이 확장성을 증명하며 AI의 보편화 기대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CES에서 파악된 기술 트렌드는 프로세서 업체들이 AI로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엔비디아, AMD, 인텔을 비롯한 주요 프로세서 업체들은 서버 뿐만 아니라 PC에서도 AI 기능이 강화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 프로세서 브랜드의 개편을 통해 AMD와 인텔은 NPU(ASIC)가 탑재된 AI PC용 제품을 세분화하기 시작했으며, 내장 GPU의 성능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 Co-processor 성능의 중요도 증가할 전망 AI 반.. 2024. 2. 17.
반도체 기업 탐구: 엔비디아(Nvidia)는 독주체제를 이어갈 것인가? 1. 엔비디아의 현 위치: 단순 Chip 판매가 아닌 생태계까지 구축 엔비디아의 GPU 독주 체제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른 기업이 따라잡기에는 이미 '엔비디아 생태계'가 견고하게 구축됐기 때문이라는 이유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실적이 하반기에도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당분간 AI 반도체 시장에서 유일무이한 입지를 갖출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그 이유로 엔비디아가 단순히 최고 성능을 갖춘 제품을 내놓는 것을 넘어, 소프트웨어와 관련 리딩 업체를 포함한 '해자'를 구축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10여년 사이 AI 인프라는 엔비디아 GPU로 정리됐다. 오픈AI.. 2023. 8. 26.
반도체 산업 탐구: 반도체 Cycle과 OSAT 1. 2010년 반도체 Cycle: OSAT 2010년 반도체 상승 Cycle 전환과 함께 OSAT 업체는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강 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지난 반도체 Cycle 중에서 OSAT 업체가 돋보였던 유일 한 Cycle이다. 그 이유는 1) 국내 메모리 생산업체의 외주 물량 확대, 2) 유의미한 비메모리 매출 성장이 동시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1.1. 메모리 생산업체의 외주 물량 확대 2007년 말부터 국내 반도체 생산 업체는 테스트 공정 외주 확대를 추진했다. 하지만 2007년부터 시작된 메모리 반도체 치킨게임과 2008년 금융위기로 반도체 업황은 좋지 못했다. 이후 2009년 상승 Cycle 전환과 함께 메모리 생산업체의 후공정 외주 물량이 확대되며 한국 OSAT 업체는 실적 성장을 이뤘.. 2023. 4. 20.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엔비디아 엔비디아 – 2 nd Stage AI 는 Robotics 라 선언 로봇산업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 곧 판단능력이다. 인지능력인 시각, 촉각, 청각은 센서기술의 발달로 이미 사람의 한계를 넘어섰지만 이를 해석하고 제어(행동)까지 연결시키는 판단능력은 여전히 부족하기에 수동적인 기계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판단의 핵심인 AI 의 완성도가 로봇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지금 로봇이 기술기업의 화두가 된 것도 AGI 는 아직 요원하되, 특정 영역에서의 AI 완성이 임박했다는 생각 때문이다. AI 의 성공여부는 엄밀히 말하면 추론(Inference)과 훈련(Training)의 반복, 즉 소프트웨어적 요소에 달려있다. 하지만 DL(Deep .. 2022.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