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u8 자동차 반도체 아키텍처와 국제 표준 - ISO26262 오늘날 자동차는 터치 인터페이스, 배터리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적게는 수백 개 많게는 수천 개에 달하는 반도체와 여러 가지 부품을 사용하고 있다.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26262는 이처럼 갈수록 복잡하고 정교해지는 애플리케이션이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엄격하게 보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그러나 이 기능 안전성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인증을 획득하는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업계는 자동차 OEM과 부품 공급업체에게 이러한 인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비용, 리스크 및 개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벽한 기능 안전성 에코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 2024. 12. 28. 자동차 기술 탐구 - SDV란? (2) 중앙집중형 E/E 아키텍처 수십 개의 ECU가 복잡하게 연결된 구조의 분산형 E/E 아키텍처에서는 SDV 구현 불가능 전통적 차량의 E/E 아키텍처는 게이트웨이(서로 다른 근거리 네트워크간 연결 지점)를 중심으로 기능에 따라 수십 개의 ECU들이 차량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ECU 안에는 수십 개의 MCU가 탑재되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 내연기관차에 들어가는 총 부품 수는 약 2~3만개로 이를 공급하는 부품사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분산형 구조가 유리할 수 있다. 스마트키, 디지털 대시보드, ABS 브레이크, 자동 헤드라이트, 자동 공조기, 엔진 제어, ADAS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기능들은 각각의 ECU를 통해 제어되며 엔진을 제어하는 ECM(Engine contro.. 2024. 3. 3. 자동차 기술 탐구 - SDV란? (1) SDV의 정의 및 의미 스마트카의 핵심은 연결성, 자율주행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동화 스마트카는 사람과 사물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수단이라는 전통적인 본질에 IT기술을 융합시켜 각종 편의 기능과 안전기능을 탑재한 인간 중심의 미래형 자동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자동차가 점점 똑똑해진다는 뜻이다. 차량 내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운전자가 차 안에서 오락, 정보 등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한다. C.A.S.E(Connectivity, Autonomous, Shared & Service, Electrification)로 대변되는 미래 자동차의 요소 중 Connectivity(연결성), Autonomous(자율주행)가 실현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이를 한대의 자동차에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이기.. 2024. 3. 2. 자동차 기술 탐구: 자율주행 시스템 - 차량용 반도체 옴디아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은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9%를 차지하고 있고 2021년 516억달러로 +29%YoY 증가했다. 이중 메모리 반도체의 비중은 10% 미만이나 ADAS 출하량이 성장함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매출도 +50%YoY 이상 성장한 것으로 보여진다. 차량용 반도체 매출 성장은 전기차의 확대, ADAS 및 인포테인먼트, 텔레메틱스 시스템 등에 대한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우리와 친숙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과는 상당히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참여하는 업체들은 소품종 대량 생산 구조로 규격화된 설계를 바탕으로 낮은 원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아날로그 IC, 마이크로 컨.. 2022. 8. 3. 자동차 기술 탐구: 자율주행 시스템 - 개요 테슬라를 비롯한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자동차(BEV)를 중심으로 첨단 ADAS 기술을 대거 탑재하면서 자율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완전자율주행차 시대를 앞두 고 자동차 업체들은 자체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거나 관련 기업을 인수합병하며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ADAS 기술 구현을 위한 반도체, 센서, 통신과 같은 IT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자율주행 단계 발전에 따른 장기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현재 자율주행차 기술은 레벨1(운전자보조) → 레벨2(부분자동화)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2025년경에는 레벨3(조건부 자율주행), 2030년 이후에는 운전자의 개입이 불 필요한 레벨4~5(고등/완전 자율주행)로 발전해나갈 것으로 전망되어 왔었다. 하지만 최근 인텔-.. 2022. 8. 1. 자동차 기술 탐구: 자율주행을 위해 전기자동차가 필요한 이유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는 2020년~2025년 CAGR 6% 수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기자동차가 성장(BEV CAGR 52% vs. Non-BEV CAGR 3%)을 견인할 것 으로 전망한다. 전기자동차의 비중은 2020년 3%수준에서 2025년 18%수준으로, 판매량은 18백만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대부분 자율주행 기반은 전기차로 인식한다. 이는 자율주행에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 되는 기업으로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를 떠올리기 때문이다. 또한 GM 등 완성차 기업들 역시, 완전 자율주행 차량은 전기차 기반 임을 염두해 두고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이 러한 흐름은 단순히 향후, 내연기관차의 대부분을 전기차가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는 자율주행차의 기반이 전기차였.. 2022. 8.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