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바이오 기업탐구: 삼성바이오로직스 - 바이오에피스 지분인수 Q.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성? A. 초창기에는 가격 경쟁이 심했으나 현재는 Major 기업 중심의 과점 체제로 재편되어 시밀러 가격 안정화됨. 블록버스터 약물의 특허 만료 및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정책 (교차처방 등)의 영향으로 안정적 시장 성장 기대. 2030년까지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연 평균 15% 성장해 약 9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Q. 이번 양수도로 바이오젠와의 파트너쉽에 변경 사항 존재하는지 A. 당사가 바이오젠과 체결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계약은 JV계약 및 지분 보유와는 별개로 이루어진 사항. 에피스 지분 인수 이후에도 바이오젠과 파트너십은 지속될 것 Q. 에피스 지분 매입 금액이 시장 추정치 대비 낮은데, 바이오젠이 바이오시밀러 전망 이 밝지 않아서 판단하고 나가는 것인지? .. 2022. 3. 20.
거시 경제: 세계 질서의 변화(미국의 몰락??) 글로벌 투자계의 거목이자 Thought leader인 레이달리오(Ray Dalio)가 최근에 공개한 Changing World Order(세계 질서의 변화)에 대한 책 요약 동영상 입니다. 최근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꼭 한번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되면 책도 구해서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1. 영어 원문 https://www.youtube.com/watch?v=xguam0TKMw8 2. 한글 번역 및 해설 https://www.youtube.com/watch?v=I-uG0q2FSgM 뜨리스땅 2022. 3. 13.
반도체 산업탐구: 반도체 수요와 공급의 변화 trend - 3(feat. by HBM) 5.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은 강점을 더 강화시키고, 약점은 보완시키는 것이다. 한국의 강점은 단연 메모리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전공정 기술을 지속적으 로 선도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메모리 산업 특징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① 변동성 축소와 ② 차별화 시도를 예상한다. 메모리는 Cycle 성향이 강하다. 지난 2016-18년 Big Cycle에서 고점 분기 이익을 대폭 상향시켰지만, 불황에서 이익 급락이 아쉬웠다. 그리고 메모리 공정기술의 목표가 원가 경쟁력인데, 공정기술 둔화는 장기적으로 선두 업체들에게 경쟁력 훼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향후 메모리에도 차별 화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 높다. 과거 메모리 기술 개발이 전공정 선폭 미세화에만 집중됐다.. 2022. 3. 9.
반도체 산업탐구: 반도체 수요와 공급의 변화 trend - 2 3. 반도체 공급부족 시대로 진입 3.1. 반도체 Big Cycle은 구조적 이유 포함 반도체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성장하고, 공급이 수요에 후행하면서 느려지는 현상은 앞으로는 구조적이라고 봐야 한다. 반도체 산업은 구조적인 공급부족 시대에 진입한 것이다. 2017-18년 메모리 Big Cycle이, 2021-22년 비메모리 Big Cycle은 메모리, 비메모리에서 각각 이러한 구조적인 공급부족 시대의 첫 출발을 알린 신호탄이다. 이번 비메모리 공급부족에는 코로나19 또는 한파/가뭄 등 일회적 외부 환경이 영향을 미쳤던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일회적 요인이 제거되더라도 2023 년부터 비메모리 공급부족이 갑자기 금세 해소되는 것도 쉬워 보이지는 않다. 메모리도 마찬가지다. 이 상황에서 반도체 산업은.. 2022. 3. 9.
반도체 산업탐구: 반도체 수요와 공급의 변화 trend - 1 1. 수요의 구조적인 변화 1.1. IT 패러다임 변화와 Data Traffic 증가 반도체 수요는 전방 시장 흐름에 연동된다. 3차 산업혁명, 모바일 혁명, 4차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PC, 스마트폰, 서버 등 전방 수요 확장을 경험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반도체가 핵심 소재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 트래픽 급증과 함께, 반도체 수요는 구조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며, AI, 자율주행, 전장, 메타버 스 등의 성장 스토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반도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전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01년 170 조원에서 2020년 507조원까지 증가했다. 비메모리와 메모리 모두 동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중장기 반도체 수요에 대한 의심은 불필요해 보인다. 반도체는 IT.. 2022. 3. 9.
반도체 산업탐구: 반도체 공급부족 시대, 진화하는 메모리 1. 외부 변수에 의한 업황 하락을 짧은 조정으로 마무리 2H19부터 진행된 이번 메모리 상승 Cycle은 과거와 달리 굴곡이 심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로 인한 수요 급감, 2021년에는 IT 공급망 차질에 의한 메모리 재고 조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메모리 반도체 산업 내재적인 변수가 아닌 외부 변수가 Cycle 내 작은 굴곡을 만들었다. 단기적으로는 1Q22 중 서버 주문량 증가, 2Q22 중 메모리 가격 반등을 예상한다. IT 공급망 차질에 의한 진통을 메모리 Cycle이 결국 상승 반전하며 이겨내고 있다. 2H19 이후 메모리 상승 Cycle이 2 번의 조정과 3번의 상승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Cycle보다 힘들었지만, 이번 Cycle은 메모리 생산업체들에게 매우 값진 경험이었을 것이다.. 2022.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