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소재 기업 Valuation 기업의 Valuation에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 매출성장률이 중요한가? 성장산업에 속한 기업이나 신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이익보다는 매출성장률이 중요하다. - 영업이익률이 중요한가? 성장이 정체된 산업에 속한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중요하다. 또한 동일한 산업에 속한 유사한 기업들간에는 영업이익률이 높은 기업이 보다 valuation이 높다. - PER이 중요한가? 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 혹은 시총을 연간 총 순이익(1년간 벌어들인 이익)으로 나눈 값. 동일한 영업이익을 거두더라도 시총이 크면 그만큼 기업 성과가 안좋은 것이고, 반면 시총이 작으면 잘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은 기업은 거두는 이익에 비해 저평가 되었다는 것이고 이런 기업의 주식.. 2022. 2. 26.
인터넷 산업 탐구: 메타버스(feat. 메타, 제페토, 로블록스) 1. 인터넷의 진화로써의 메타버스 - 인터넷 산업의 역사는 정보와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 및 형태의 변화 - 1930년대는 통신과 전화, 2000년도부터 SNS의 등장, 2007년 스마트폰, 2020년 이후 메타버스 기반의 연결, 2025년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 대중화 예상 - 메타버스는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사이버펑크SF소설 ‘스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 아바타란 단어와 함께 등장. 1985년 리처드 게리엇의 개발한 ‘울티마IV’에서 게임 내 분신과 캐릭터로 사용 - 블리쟈드의 ‘WOW’, 엔씨소프트의 ‘리니지’에도 있어왔던 개념. 달라진 것은 디지털 아이템과 캐릭터를 ‘진짜 소유할 수 있다는 점’ “앞으로 5년안에 사람들은 우리를 소셜미디어 회사가 아닌 메타버스 기업으로 보게 될 것이다... 2022. 2. 23.
2차전지 기업 탐구: LG에너지솔루션 1. 소재 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어려움 2021 년 중국 전기차 판매 급증(NEV 2021 년 352 만대, 2020 년 134 만대)과 환경 규제, 코로나19 로 인한 생산 차질 등에 따라 배터리 소재 가격들이 급등한 상태다. 양극재의 주 원재료인 리튬, 니켈, 망간 가격은 최근 몇 년간 최고가를 넘은 상태며, 전해질 (LiPF6 등) 가격 급등에 따라 2021 년 상반기 적자를 기록하던 전해액 업체들도 지난 4 분기 20% 내외의 가격인상을 실시했다. 양극박의 원재료인 알루미늄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훌쩍 뛰어 넘었으며, 음극박의 원재료인 구리가격도 작년 고점 수준까지 상승한 상태다. 배터리 원가의 약 60% 내외가 소재 가격이며, 소재는 양극재 40%, 음극재 13%, 분리 막 13%, 전해액 11%.. 2022. 2. 22.
2차전지 산업 탐구: 옥석가리기 이익의 증가와 멀티플 상향이 가능한 기업 찾기 글로벌 시장 내 K배터리의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고, 그와 함께 K소재도 글로벌 선두적인 입지를 다져나갈 것으로 전망한다. 배터리 시장의 우상향 성장성은 견고하며, K배터리와 K소재간의 협력은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2차전지의 소재 국산화 흐름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2차전지를 둘러싼 업황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최근 2차전지 소재주 중심의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고려하면 현시점에서는 가격과 밸류에이션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더라도 가격이 비싸면 매력적인 투자안이 될 수 없다. 주가는 이익의 함수다. 즉, 기업의 적정가치는 이익X멀티플이다.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기업이란 이익의 증가와 멀티플의 상향이 모두 가능한 기.. 2022. 2. 20.
2차전지 기술 탐구: 전해질 시장 Update 1. 전해질과 첨가제가 핵심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의 리튬이온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매개체로 전해질(리튬염), 유기용매, 첨가제로 구성되며, 배터리 셀 재료비 원가구조에서 8%를 차지한다. 제조방식은 유기용매에 전해질을 용해한 후 성능 향상(에너지밀도, 수명, 안정성 등)을 위해 소량의 첨가제를 추가한다. 핵심은 전해질과 첨가제다. 전해액 원재료 원가구조에서 전해질(45%)과 첨가제(30%)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만큼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먼저 전해질은 용매에 해리되어 이온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소재로서,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전해질 소재로는 높은 이온전도도와 안정성을 갖춘 LiPF6(Lithium Hexafluorophosph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 .. 2022. 2. 19.
2차전지 기술 탐구: 분리막 시장 update 1. EV용 습식 분리막 채용 확대 분리막은 배터리의 안전성을 위한 핵심소재로서, 양극과 음극이 만나지 않도록 가로막는 역할을 한다. 분리막의 주요 성능은 3가지로 배터리 단락 방지, 이온의 이동 차단, 배터리 성능 강화이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여 내부 단락을 방지하고, 배터리 과열시 미세공 폐쇄로 이온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배터리 용량 및 출력과 배터리 수명 및 고속 충전에 관여한다. 분리막은 배터리 셀 재료비 원가 구조에서 16%를 차지하며, 4대 소재 중에서는 2번째로 차지 비중이 높다(양극재 52%, 음극재 14%, 전해액 8%). 분리막은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위치한 미세다공성 초박막 필름으로서, 절연 소재의 얇은 막으로 미세한 공기 구멍들로 이뤄진다. 분리막 소재.. 2022.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