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2차전지 산업 탐구: 2차전지를 둘러싼 2가지 노이즈 이차전지 업종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노이즈 존재 • 첫번째 노이즈 :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에 따른 전기차 성장 각도 축소 가능성 • 두번째 노이즈 : LFP 배터리 재조명으로 인한 한국 중심의 삼원계(NCM/NCA) 생태계 위축 가능성 노이즈 1 :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 •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의 근본적 원인은 약 1,500K/월으로 제한된 글로벌 8인치 파운드리 Capa • 작년 반도체 칩 공급난으로 인한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차질 규모는 약 1,015만대 수준으로 추산 • 작년 9월 누적 기준 글로벌 완성차 OEM들의 생산량은 ’19년 동일 기간 대비 약 18% 감소 • 업계는 올해 상반기, 늦으면 ‘23년까지 칩 공급난 지속될 것으로 전망 칩 부족 점진적 개선 추세, 완성차 O.. 2022. 2. 11.
반도체 기업 탐구: Supply Chain 업체별 이익률 추이 전망 상승전망: - 전공정장비: 원익 IPS, 이오테크닉스, 테스, 피에스케이, 유진테크 - 후공정장비: 한미반도체, 파크시스템스, 유니테스트 - 공정소재: 솔브레인, 에스엔에스텍, 동진세미켐, 디엔에프, 한솔케미칼, 후성 - 기판소재: 대덕전자, 심텍, 혜성디에스, 삼성전기 - 장비부품: ISC, 원익QnC, 하나머티리얼즈, 월덱스, 티에스이 - 공정부품: 유니셈, GST 출처: 에프엔가이드, 유안타증권 뜨리스땅 2022. 2. 11.
디스플레이 기업 탐구: 삼성디스플레이 투자 전망 중소형 OLED 투자 전망: 1H22까지 6세대 30K/월 투자 진행 후, 2H22부터 8세대 투자 착수 예상 향후 3년간 삼성 그룹의 240조원의 투자 집행과 함께 삼성디스플레이의 투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부터 중소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 투자를 함께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4Q21~1H22에 거쳐 30K/월 규모의 투자를 두 번에 걸쳐 집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시장은 ‘삼성디스플레이의 감가상각 종료’에 주목해 왔는데, 2022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생산 라인의 감가상각이 대거 종료되며 감가상각비 부담이 크게 축소될 전망이다. 따라서 2022년부터 삼성 디스플레이의 신규 투자 집행의 적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4Q21~1H22에 거쳐 진행되는 3.. 2022. 2. 10.
반도체 기업 탐구: 2022년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삼성전자 비메모리, 2022년 큰 폭의 수익성 개선 예상 Foundry를 포함한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부문 CapEx는 2020년 11.0조원 → 2021년 12.7조원 → 2022년 14.5조원 → 2023년 13.5조원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부문은 2020년 총 17조원의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이 중 AP가 17%, DDI가 17%, CIS가 24%, Foundry가 38%를 각각 기록했다. Foundry 신규 고객사 매출액이 대거 반영될 것으로 보이는 2022년에는 AP가 17%, DDI가 19%, CIS가 20%, Foundry가 42%를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비메모리 부문의 영업이익은 Foundry 고객사와의 우호적인 단가 재협상과 수율 개선 등의 영향으로 인해, 201.. 2022. 2. 8.
반도체 기술 탐구: 인텔 vs. AMD 서버용 CPU 인텔의 Sapphire Rapids 인텔의 Sapphire Rapids는 서버용 CPU로서 자사의 10nm SuperFin 공정에서 양산 예정이며, 업계 최초로 DDR5와 PCIe 5를 지원한다. 초기 제품은 1Q22 생산 후 2Q22에 ramp-up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HPC와 Datacenter 고객들의 memory bandwidth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HBM(High Bandwidth Memory)를 내장한 제품을 선보일 것으로도 예상된다. 서버 시장 점유율을 확대시키고 있는 AMD 역시 TSMC의 5nm 공정을 적용한 Epyc Genoa를 2022년에 출시할 전망이다. AMD의 Epyc Genoa AMD의 Epyc Genoa는 현재의 Epyc Milan보다 +40%의 성능 향상을 이룰 것으.. 2022. 2. 7.
반도체 시장 전망: 2022년 DRAM 수요 전망 2022년 DRAM의 총 수요는 254.7억GB(+17%YoY)로 성장할 전망이다. Application별 수요 증가율은 Smartphone +19%YoY, Server +21%YoY, Tablet PC -2%YoY, Graphic +21%YoY, TV +15%YoY, PC +8%YoY로 각각 예상된다. 'Mobile DRAM과 Server DRAM, Graphic DRAM'이 산업의 수요 성장을 이끌 전망이며, 그 동안 큰 폭으로 성장해왔던 PC DRAM 수요는 세트의 판매 부진 영향으로 인해 한 자릿수 성장에 그칠 것이다. Mobile DRAM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Smartphone은 2022년 +6%YoY의 unit 증가율과 +12%YoY의 density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