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2021년 2차전지 전망 - 2 2. 2차전지 셀과 소재의 변화 전망 2.1. 셀의 변화 전망 (1) Capa 확장과 수익성 동시 확보 초점 현 시점은 중장기 EV 수요 대응을 위한 공격적 Capa 확장 구간으로, ’21년에도 소위 Top 5 셀 업체들을 중심으로 Capa 확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Top 6 셀 업체들의 내년 예상 합산 Capa는 426GWh(LG화학 126GWh, 삼성SDI 45GWh, SK이노베이션 45GWh, 파나소닉 59GWh, CATL 82GWh, BYD 69GWh)로 올해 대비 29.5% 증가가 전망된다. 그러나 과거 업체들의 전략 방향이 단순히 증설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것과 달리, 내년부터는 Capa 확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노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셀 업체들의 EV 배터리 수익성.. 2020. 12. 13.
2021년 2차전지 전망 - 1 1. EV 생태계 확장에 따른 성장 지속 내년에도 EV 생태계 확장을 통한 배터리 시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임. 내년 글로벌 EV(BEV+PHEV) 시장규모는 약 280만대(승용 260만대 + 상용 20만대) 수준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됨 이는 완성차 시장 내 침투율 약 3.3% 수준. 1. 환경관련 정부 정책 효과, 2. 3세대 EV 대세화, 3. EV 가격 인하, 4. 상용 EV 시장의 개화 등의 요인들이 내년 시장 성장을 이끌 관전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음 1.1. 정부 정책 효과 (1) 유럽 • Top 3 EV 시장인 미국, 중국, 유럽 중 내년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유럽 시장임 • 파리기후협정에 근거해 EU 주도로 Co2 배출 규제가 ‘15년부터 시행 중에 있으며, 올해부.. 2020. 12. 13.
정부의 백신 공급 계획 정부 4,400만명분 COVID-19 백신 확보, 내년 초 공급 예정 정부는 국제연합체 COVAX Facility와 해외 4개사와의 직접 협상을 통해 총 4,400만명분의 COVID-19 백신을 확보함. 국제 백신 개발 및 공급 프로젝트 인 COVAX로부터 1천만명분을 확보하였으며, 나머지 3,400만명분을 해외 4개 사를 통해 구매함. 연내 출시 예정 백신 총 3천만명분 확보 연내 출시 예정 백신인 모더나,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3사의 백신을 각각 2천만 Dose씩 확보함. 3개 백신 모두 1인당 2회씩 투여 받는 품목으로 총 3천만명 분에 해당하는 물량임. 내년 초 출시 예정인 얀센의 백신은 1인당 1회 투여 받는 품목으로 4백만 명분을 확보함 공급 시기는 빠르면 내년 1분기부터, 아스트라제네카 시.. 2020. 12. 9.
반도체 기업: 티에스이 1. 기업 개요 회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티에스이 이며, 영문명은 TSE Co., Ltd(약호 TSE) 이다. 1995년 8월 31일에 반도체 검사장비 및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으며, 2011년 1월 5일 기업공개를 실시하였다. 티에스이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 중 전공정(Fabrication)이 완료된 웨이퍼(Wafer) 상태에서의 Test를 위한 핵심부품인 Probe Card, 후공정의 최종 검사단계에서의 핵심 역할을 하는 Interface Board, LED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Total Test Solution, OLED Tester, 반도체 IC Test Socket 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사업 중 .. 2020. 12. 9.
코로나19(COVID19) 백신 현황 총정리(11월30일 기준) 1. 선도 업체들의 백신 종류 개발 현황 11월 24일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139개의 임상(Randomized Clinical Trial and Non-randomized Studies)가 진행 중이며, 4개 업체가 가장 가까운 시일 내에 백신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3개 업체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코로나19백신의 종류는 6가지가 있는데, 선도 업체들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은 Viral Vector 방식과 mRNA 방식의 백신이다. 진도가 좀더 빠른 모더나와 화이자의 경우가 mRNA 방식의 백신이며,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존슨앤존슨)이 Viral Vector 방식이다. 다음 주자 중 임상3상을 건너뛰고 접종을 시작한 러시아의 Gamaleya 연구소의 백신 역시 Viral Vector이며, .. 2020. 12. 5.
2021년 업종별 순이익 증가 예상 1. 이익 달성 가능한 업종 선별 필요 2021년 업종별 순이익 증가율 컨센서스는 증권을 제외하면 모두 (+) 과거 업종별 이익 증가 비율(전년 대비 이익 증가 업종 수 / 전체 업종 수)이 가장 높았던 해는 2004년 80.8% 2008~2009년 금융위기 이후 2010년 이익 증가 비율은 76.9% 2. 국내 업종별 순이익 증가율 컨센서스 3. 2021년 이익 달성 가능성 높은 업종 2021년 업종별 이익 달성률에 따라 주가 차별화 전망. 이익 달성률은 매출과 수익성 개선여부로 판단 매출+수익성 개선되는 업종: 건강관리, 운송, 디스플레이, 자동차, IT가전, 소프트웨어, 화학, 철강, 반도체 매출 개선, 수익성 둔화 업종: IT하드웨어, 기계, 건설 4. 12월에 선택할 배당주 코로나19 영향으로 .. 2020.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