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젠10

진단키트 산업 전망: 바이오시밀러와 함께 K-바이오 산업의 양대 축 1. 체외진단 시장 현황 및 전망 체외진단(IVD: In-vitro Diagnostics)이란 생체에서 유래된 혈액, 소변, 타액 등을 이용해 질병 여부를 진단하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말한다. 체외진단기기는 진단에 사용되는 도구로 시약, 진단 키트, 분석 장비 등이 있다. 전세계 체외진단 시장은 2019년 719억달러에서 2025년 974억달러로 연평균 4.4% 성장이 전망된다. 국내 체외진단 시장은 2019 년 1.1조원으로 추산되며, 2025년까지 연평균 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체외진단 방식은 진단 기술 및 사용 검체에 따라 면역화학진단, 임상화학진단, 분자진단, 혈액진단 등으로 나뉜다. 현재 체외진단 시장은 주로 면역화학진단, 중앙분석실진단, 미국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나 분자진단, 현장.. 2020. 6. 1.
코로나19 진단키트 최근 동향 - 업데이트 1. 코로나19(COVID19)진단키트의 종류 진단방식은 검출방식에 따라 1)분자진단과 2)면역진단으로 나뉜다. 1) 분자진단은 환자의 분비물을 채취한 뒤 진단 시약과 RT-PCR(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장비를 이용해 유전자를 증폭하여 질병의 감염여부를 진단한다. 감염 초기 진단에 정확도가 높은 것이 장점이다. 다만 정량 진단 방식으로써 진단을 위한 전문 인력과 장비가 갖춰져야 하며, 진단에 약 6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이다. 한국에서는 확진판정에 RTPCR 분자진단 방식만을 이용하고 있다. 국내 주요 업체로는 씨젠(096530), 에스디바이오센서(비상장), 솔젠트(비상장), 랩지노믹스(084650) 등이 있다. 2) 면역진단은 검사 대상에 따라 항원진단과 항체진단으로 나뉜다. 현재 면역진단은 항체진단.. 2020. 5. 3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바이오-제약 회사 시총 변화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전세계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지만, 우리나라의 바이오,제약 업체들은 시총 상승의 호재를 맞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는 우리나라의 빠른 상황 안정과 더불어 K바이오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제약바이오 종목들의 주가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대체로 상승했다. 다만 최근 이태원에서의 확산으로 전국에서 많은 수의 확진 사례가 나오면서 상황 자체를 낙관하긴 어려워 보인다. 알테오젠은 지난주 코스닥 제약바이오 종목 중 톱픽이었다. 올해 2조5000억원 이상의 기술수출 가능성 전망이 제시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알테오젠의 주가는 신고가를 거듭 경신했고 시총은 2조원으로 늘었다. 순위도 9위에서 4계단 끌어올린 5위에 안착했다. 알테오젠.. 2020. 5. 19.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 국내 제약사 관련 사항 및 주가 변화 코로나 확진자 발생 이후 제약바이오 기업 중, 4월 말까지 100일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은 진원생명과학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는 1월 20일 3,155원에서 지난 28일까지 8,645원이 올라 11,800원에 마감됐다. 3배에 달하는 274%의 상승을 거둔 것. 이어 씨젠(195%), 신풍제약(138%), 파미셀(130%), 부광약품(84%), 녹십자엠에스(71%), 일양약품(56%)의 주가도 급등한 것으로 확인됐다. 씨젠은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전세계에 공급하고 있는 상황으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코로나19 진단시약(제품명 Allplex 2019-nCoV Assay) 의 긴급사용을 승인받았다.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 진단시약이 부족한 상황에서 매출 확대가 주가 상승을 이끈.. 2020.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