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상품 시장 수퍼싸이클?

by 뜨리스땅 2021. 1. 31.
728x90
반응형

1. 역사적 상품지수의 변화 추이

상품투자는 역사적으로 70년대와 2000년대 큰 투자수익을 거두었다. 2020년 이후 다시 그러한 시기가 올 것인지 기대가 있다. 

 

2. S&P500 대비 상품지수의 상대적 변화 추이

지금은 역사적 저점으로 주식과 상품간의 장기 사이클의 전환점일지도 모른다.

 

3. 산업금속 가격 및 광산업체의 주가 추이

철광석, 구리, 알루미튬의 가격은 연초 대비 15%~45%가지 상승하고 있고, 주요 광산업체 주가 수익률은 연초 대비 50% ~80%까지 상승하고 있다.

 

 

4. 구리 소비의 급격한 증가

 

당연히 전기차가 내연기관에 비해 구리 소비량이 많고, 승용차의 경우 최대 3.5배 소비가 많고, 버스의 경우는 11~16배 사용량이 더 많다.

 

5. 전기차에 의한 금속 소비량 증가 전망

구리 소비의 가장 클 것으로 생각했는데, 오히려 니켈과 알루미튬 수요 증가율이 더 크게 전망된다. 철의 경우에도 생각보다 소비 증가율 전망이 크다.

 

 

6. 곡물 가격의 6년 고점 돌파

콩, 옥수수, 밀 등의 곡물 가격은 2019년 하반기를 저점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을 거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이후 6년 고점을 돌파하고 있는데, 경기회복, 각종 가축 전염병등으로 인한 사육 두수의 감소 후 다시 늘려가는 상황,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의 악화 등이 겹쳐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출처: 흥국증권, 모건스탠리, 블룸버그, Statista, 우드맥킨지, WSI, Alpine Macro, Factset

 

뜨리스땅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