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산업

2차전지 기업 탐구: 천보 update - LFP 확대 수혜

by 뜨리스땅 2023. 3. 29.
728x90
반응형

테슬라가 주목하는 LFP 배터리 대표 수혜 기업

 

테슬라는 드라이브 유닛 및 SiC 사용 감소 관련 LFP, 삼원계 등 모든 배터리 화합물과의 호환을 중시한다.

 

특히, 저가 배터리로 LFP 양극재를 주목하고 있어서, 차세대 차량 제조에 적용되는 양극재는 LFP와 삼원계를 모두를 활용하되 배터리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양극재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LFP 확대 대표 수혜주는 천보로 생각된다. 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LFP 배터리의 낮은 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해 삼원계보다 높은 농도로 적용되는 특수 리튬염과 첨가제를 생산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특수 전해질 중 F 전해질은 중국 기업들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으며, P 전해질은 독점인 기업으로 LFP 확대로 인한 수혜 폭이 클 수 있다.

 

 

 

 

2023년 외형성장 본격화

 

천보는 2023년 매출액 5,444억원(+65% yoy) 영업이익 994억원(OPM 18%, +68% yoy)으로 큰 폭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

 

2023년 2분기 P전해질 천톤, 4분기 F전해질 4천톤 양산이 시작되며, 첨가제 VC/FEC 6천톤도 3분기 양산이 예정되어 있다.

 

따라서 2022년 4,700 톤에서 2023년 17,000톤으로 생산능력이 확대되면서 외형성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천보는 중국 기업보다 높은 가격 경쟁력을 활용, 중국, 유럽 중심으로 F 전해질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략 하에 다소 이익률이 하락할 수 있지만, 다른 배터리 소재 대비 여전히 높은 이익률(17% 수준)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부터는 고가의 LiPF6를 사 용하지 않고 저렴한 원재료 변경을 통한 제조원가 30% 절감 제조법을 적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유럽, 미국 시장을 공략,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자 하는 계획을 보유하고 있다.

 

 

 

출처: 유안타투자증권, 천보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224

 

2차전지 기술 탐구: 전해질 시장 Update

1. 전해질과 첨가제가 핵심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의 리튬이온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매개체로 전해질(리튬염), 유기용매, 첨가제로 구성되며, 배터리 셀 재료비 원가구조에서 8%를 차지한다. 제조

tristancho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