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전자부품 기업 탐구: 휴대폰 부품 1. 애플이 촉발시킨 전장부품 모멘텀 전기차 2차전지 모멘텀이 자율주행 전장부품으로 확산됐다. 지난해 연말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 개발 뉴스와 LG전자의 전기차 부품 합작법인 설립 공시를 시작으로 시장의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2020년에 테슬라가 전기차 2차전지의 성장성을 부각시켰다면, 2021년에 애플은 자율주행 전장부품 모멘텀을 촉발 시켰다. 애플, 테슬라와 연관이 있는 기업들 외에도 매출 내 전장 비중이 높거나 전장 사업의 성장성이 유망하다고 기대되는 IT 부품사들에서 순차적으로 주가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2. 전장 카메라 관련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예상 전장 부품 기업들 중에서도 카메라 공급사들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을 주목한다. 스마트폰 카메라 산업은 코로나19 이후의 수요 회복과 트리.. 2021. 2. 6.
바이오 기업 탐구: 씨젠 업데이트 '20년 4Q 1. 2020년 4분기 실적 예상 4분기 매출액 4,489억원(+1,228.9% YoY), 영업이익 2,913억원 (+5,580.5% YoY)이 예상된다.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호실적이 전망된 다. COVID19 시약이 4분기에도 실적 급증을 견인할 전망이다. 4분기에 5가지 바이러스(COVID19, 인플루엔자 A형, B형 독감, RSV A형, B형)를 한번에 진단 가능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독감과 COVID19는 증상은 비슷하지만 구분하기 어려워 신제품 수요가 급증 한 것으로 파악된다. COVID19 시약 매출액은 3,586억원(+65.7% QoQ)이 예상된다. 장비 판매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장비 판매 매출액은 414억원(+290.9% YoY)이 전망된다. COVID19 시약 이외에 다른 제품군들도.. 2021. 2. 6.
반도체 산업 탐구: 2021년의 주요 변화 요인들 2021년은 반도체 산업에서 여러가지 tipping point가 나타나는 시기로, 현 시점에서 주요 변화 요인들에 대해 다시 한번 짚어보고 한해를 전망해볼 필요가 있다. 1. 전반적인 기술 변화 2021년 DRAM은 EUV를 적용한 1a 공정으로 진입하게 되며, 3D NAND는 V7 176단 2 Stacked 공정으로 변화하게 된다다. 그리고 2012년 3D Tri Gate 구조, 일명 FinFET 구조로 이어져온 Logic은 2022년부터 GAA구조로 변화되게 된다. 2021년 이후부터는 그 어느 사이클보다 반도체의 기술 변화가 많아지는 사이클이기 때문에, 그 동안 반도체의 기술 변화를 이끌어온 인자들(멀티 패터닝, 하드마스크, High-K 프리커서, 단채널현상, HKMG 구조)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 2021. 2. 3.
2021년 비철금속 전망 1. 비철금속 가격 및 재고 추이 •비철금속 가격은 전반적으로 달러 약세 및 남미 공급 차질 등의 이슈로 회복세 시현 중 •남미 공급 차질이 해소될 경우 가격 조정이 나타날 우려가 시장에 존재하나, 남미 공급 차질 해소의 전제 조건이 코로나19 확산 둔화이기에, 오히려 그 때에는 수요 회복 기대감이 한층 더 커진 시점일 것 •구리: 2015년 이후 저점 4,327.5달러/톤 vs 고점 8,146달러/톤 vs 현재 7,952달러/톤 •알루미늄: 2015년 이후 저점 1,421.5달러/톤 vs 고점 2,600달러/톤 vs 현재 2,008달러/톤 •아연: 2015년 이후 저점 1,454.5달러/톤 vs 고점 3,606달러/톤 vs 현재 2,767달러/톤 •니켈: 2015년 이후 저점 7,705달러/톤 vs 고.. 2021. 2. 2.
2021년도 철강 시장 및 가격 전망 1. 철강 가격 전망 •글로벌 철강 가격 급격한 회복 중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철강가격은 수요 회복 기대감에, 미국/유럽은 수요 회복 + 타이트한 공급 등에 기반해, 20년 8월 이후 가격 상승 지속 2. 철강 원재료 가격 추이 •철광석 가격은 20년 5월부터 가격 상승 후, 20년 9월 이후 정체 국면 •그러나 20년 12월부터 1) 견고한 철강 수요 흐름에 더해, 2) 브라질 Vale의 생산량 가이던스 하향 조정, 3) 호주 싸이클론 시기 도래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등으로, 재차 가격 상승 시현 중 •2Q20 철광석 가격 상승 당시에는 철강 수요 위축으로 인해 철강 가격이 오히려 하락했지만, 현재 철광석 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철강 수요 회복과 맞물려 cost push 현상으로 귀결 중 3. 철강-.. 2021. 2. 2.
2021년도 영업이익 증가율 상위 기업 크게 의외인 기업은 없는 것 같다. 네패스는 후공정 관련 기업으로 반도체 싸이클 상승에 따라 작년에 안좋았지만 올해 좋아지는 기업이고, 유진테크 역시 반도체 장비 기업으로 원익 IPS와 더불어 주목받는 기업이고, 유니테스트 역시 테스트 기업으로 전망이 좋고, 후성 역시 반도체 소재 기업으로 작년 부진에서 턴어라운드 하는 기업이고, KH바텍은 폴더플 폰 수혜 기업이고, 엘엔에프는 LG솔루션에 주로 납품하는 양극재 기업으로 이차전지 수혜기업이고, 서진시스템은 눌려있던 5G 종목으로 많이 오르긴 했지만 종목군 내에서 주목받는 기업이고, 효성첨단소재는 탄소섬유 관련 기업으로 수소연료전지 테마 수혜주이고, YG엔터는 엔터 중 수익성과 현금창출력이 꾸준한데다가 네이버와 협업 호재가 있는 기업이다. 출처: 유안타증권.. 2021.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