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4

반도체 기업 탐구: 테스(TES) 1. 기업 개요 삼성전자의 오랜 협력사 중 한 곳인 테스는 국산 반도체 제조용 장비개발을 목표로 2002년 9월 설립됐다. 테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부품 제작 업체다. 사업 부문은 크게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부품 등으로 이뤄졌다. 이 중 주력 부문은 장비 관련 사업으로, 전체 매출의 78%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반도체 제조기술팀장, 하이닉스 생산총괄 부사장을 역임한 주숭일 대표가 창립자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너나할 것 없이 비싼 돈을 들여 해외업체 장비를 수입해서 쓰는 것을 국산화해 나가고자했던 게 테스의 출발이었다. 2. 주요 제품 및 기술, 고객 반도체 장비가 매출의 80%, 소모품 및 관련 서비스 매출이 20% 정도 차지한다. 장비는 수요 고객에 따라 반도체와 displ.. 2021. 3. 10.
소재 기업 탐구: 포스코인터내셔널 1. 기업 개요 대우그룹의 지난 날의 영욕을 품고 있는 회사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에 대한민국의 기업가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창립한 대우실업(주)을 모태로 한다. 1981년 대우개발이 대우실업을 흡수합병하여 1982년 주식회사 대우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에 대우그룹이 몰락하며 같은 해 12월 27일에 대우의 무역 부문을 인적분할로 대우인터내셔널로 설립되었다. 2010년 10월에 포스코 그룹에 편입되었다. 2016년 3월에 포스코대우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9년 3월에 다시 포스코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참고로 드라마 '미생'의 배경이 된 바로 그 회사이다. 자문을 맡은 최훈민씨는 실제 대우 인터내셔널에서 2010년부터 4년간 근무한 경험으로 '미생' 촬영 내내 많은 배우,.. 2021. 3. 9.
반도체 기업 탐구: 하나머티리얼즈 update 1. 개요 하나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식각 공정용 Si (Ring, Electrode), SiC Parts 전문 (Before market)업체이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업체인 Tokyo Electron이 2대주주이며, 2020년 거래선별 매출액 비중은 기준 Tokyo electron 70% 중반, 세메스 10% 초반, Applied Materials 6% 수준으로 추정된다. 원재료인 잉곳을 내재화하고 있으며, 가장 큰 강점은 대구경 잉곳 생산라인을 보유 (자체 잉곳 Grower 설계 및 제작 능력 필요)하고 있어 ASP Upside 뿐 아니라 원가율을 낮추는데 경쟁사 대비 유리하다는 점이다. 2. 실적 전망 2021년 실적은 매출액 2,560억원 (+28% YoY), 영업이익 682억원 (+28% YoY)의.. 2021. 3. 1.
전장부품 기업 탐구: 엠씨넥스 1. 기업 개요 엠씨넥스는 CCM 기술을 기반의 영상 전문 기업으로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과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용 멀티 카메라, 지문인식솔루션 (Biometric Fingerprint Module), ToF (Time of Flight) 카메라 등의 신규 제품을 출시했다. 민동욱 엠씨넥스 대표(사진)는 현대전자, 팬택앤큐리텔 등에서 휴대폰 연구개발 엔지니어로 일하다 2004년 엠씨넥스를 창업했다. 당시만 해도 국내외 휴대폰 업체가 일본 카메라 모듈에 대부분 의존하던 시절이었다. 카메라 모듈 국산화에 집중한 뒤, 개발 제품을 일본 중국 등에 판매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2007년부터 삼성전자 1차 벤더로 등록돼 관련 부품을 납품했고, 2012년 코스닥시장에.. 2021. 2. 27.
2차전지 기업 탐구: 피엔티 1. 기업 개요 2003년 설립된 롤투롤 기반 핵심 소재 생산 장비 제조 업체이다. 2012년 7월 코스닥 상장 후, 2차전지 제조 장비(73%)가 주력으로 롤투롤 기반 코팅, Calendaring, 슬리팅, 노칭 등 전공정 장비에 대한 국산화를 선도하는 기업이다. Peer 업체로는 국내에서는 씨아이에스, 일본의 도레이, 히라노 테크시드, 중국의 리드차이나, 잉허과기가 있다. 최대주주는 김준섭 대표이사로 18.1% 보유하고 있다. 2. 주요 제품 및 사업 2.1. 주요 제품 피엔티는 축적된 경험과 최신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LCD를 비롯한 각종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 소재를 생산하는 장비,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극, 양극 소재를 생산하는 장비, 회로소재 및 2차전지용 .. 2021. 2. 26.
바이오 기업 탐구: 오스코텍 1. 기업 개요 1.1. 회사 소개 오스코텍은 임직원수 44명(R&D 인력 19명)의 R&D 기반 바이오텍 업체로, 약물 성공확율이 높다고 알려진 표적 치료제 ‘티로신 키나아제(TK)’ 개발 업체로 관련 라이브러리를 5,000개 이상 보유하고 있다. 유한양행에 기술이전한 레이저티닙이 J&J에 1.4조원에 기술이전되면서, 기술이전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오스코텍은 얀센에의 1.4조원의 대규모 기술수출로 잘 알려진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의 원개발사이다.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인 레이저티닙은 3세대 EGFR 저해제로서 얀센과 유한에 의한 글로벌 임상 2상 및 3상을 진행 중에 있다. SKI-G-801은 FLT3와 AXL을 타겟으로하는 선택적 저해제이다. 현재 AML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글로.. 2021.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