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3 2차전지 산업 탐구: 테슬라 배터리데이 2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에서 발표할 수 있는 2번째 Agenda는 배터리셀 내재화일 것이다. 2. 배터리셀 내재화 사업을 하는 업체 입장에서 기술과 양산은 중요한 자산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양산으로 이어지지 않는 기술은 자산보다 비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테슬라는 전기차 사업을 시작한 2003년 이래 배터리셀을 직접 양산해본 적이 없다. 원통형 배터리셀은 그동안 파나소닉이 공급하고, 테슬라는 차량 퍼포먼스에 맞게 패키징하는 과정에 경쟁력을 키워왔다고 보는게 타당하다. 물론 최근 인렦의 움직임이 테슬라의 배터리셀을 직접 제조할 가능성에 대한 추측이 나올만 하다. 테슬라는 성능이 개선된 배터리 셀을 위한 재료개발을 위해 캐나다 Dalhousie 대학의 Jeff Dahn 교수와 5년짜리 프로젝트 계약을 맺었고, .. 2020. 9. 11. 2차전지 산업 탐구: 테슬라 배터리데이 1 얼마 안 있으면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가 있는데, 과연 배터리 데이에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무언가를 테슬라가 발표할 수 있을지 예상해보고자 한다. 1. 테슬라의 전고체 전지 양산화 가능성 기술이 있는 것과 양산성, 즉 경제성은 다르다. 특히 투자자 입장에서 회사의 매출로 실현되지 못하는 기술은 가치를 주기 어렵다. 지금 전고체 전지의 상황이 그러하다. 전고체 전지를 구성하는 고체전해질의 적절한 재료도 업계 내 의견이 분분한데, 갑자기 숨겨두었던 것 마냥, 양산의 경제성을 주장하는 것은 무리다. 현재 개발 중인 고체 전해질로는 황화물계, 산화물계, 고분자계 등 학계와 업계에서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전고체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에너지용량 보다 이론적으로 2배 가량 높다. 따라서 전고체 전지 개.. 2020. 9. 11. 바이오 기업 탐구: 수젠텍 2 오랫만에 시세를 분출하고 상한가 간 수젠텍에 대해 추가 정보 업데이트 공유 합니다. 기본적인 내용은 지난번에 포스팅한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https://tristanchoi.tistory.com/62 바이오 기업 탐구: 수젠텍 씨젠에 이어 가장 주목 받는 진단키트 기업이 수젠텍이다. 1. 기업 개요 ㈜수젠텍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유비쿼터스 바이오칩 리더기’ 기술을 이전 받아 2011년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 tristanchoi.tistory.com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美 FDA 승인 획득"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 'SGTi-flex IgG' FDA EUA 승인..."NCI 성능평가서 민감도 97%, 특이도 100%" 수젠텍이 국내 최초로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에 대한 미국 .. 2020. 9. 7. 반도체 기술 탐구: 비메모리 기술 변화 인텔의 7nm 지연 뉴스는 비메모리 산업 전망에 매우 큰 이슈다. 비메모리 시장 은 인텔과 비인텔 진영으로 이분화할 수 있는데, 비인텔 진영의 확장 기회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비메모리 Foundry는 중요한 기술 변화를 앞두고 있다. 전공정 3nm 선폭부터 기존 FinFET 공정 적용으로는 누설전류 제어가 어렵다. Foundry 업체들은 FinFET 공정을 개선한 GAA(Gate All Around) 공정을 도입할 전망이다. 후공정에서도 TSV(Through Silicon Via) 등 부가가치 향상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1. 비인텔 진영의 확장 기회 비메모리 Foundry 시장은 2010년 초반부터 급격히 성장해 왔다. 비메모리 시장 은 인텔 영역(IDM)과 비인텔 진영(Fabless, Foundr.. 2020. 9. 6. 반도체 기술 탐구: NAND의 기술 변화 NAND 기술의 변화: 삼성전자의 Double Stack의 적용 NAND 업체들이 양산에 적용하고 있는 적층 단수가 거의 동일한 수준임에도 업 체별 수익성 차이가 크다. 수율이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Step 수가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Step 수는 Single Stack이냐 Double Stack이냐에 따른 Tiers에 좌우된다. 향후 3D NAND의 적층 단수 증가에 따른 종횡비 상승 문제 \로 Tiers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Big Cycle 재현을 전망한다. 1. 삼성전자 3D NAND의 독보적인 이익률 이유는 Single Stack 2018-19 Down Cycle에서 삼성전자와 후발업체간 NAND 영업이익률 격차가 확대되었다. 업체간 공정기술 격차 때문이다. NAN.. 2020. 9. 6. 반도체 기술 탐구: EUV 두번 째 이야기 지난 번에 EUV 기술의 개요와 어디에 쓰는지에 대해 포스팅 한 적이 있었다. 오늘은 최근에 업데이트 된 내용으로 추가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겠다. https://tristanchoi.tistory.com/54 반도체 공정 기술: EUV는 어디에 쓰나? DRAM vs. 파운드리 지난 3월 25일. 삼성전자는 "처음으로 (1x나노) D램 생산에 극자외선(EUV) 공정을 채택했다"고 공식 밝혔다. 약 1년 전 (미국에서) 비슷한 소문이 있었는데, 삼성전자가 이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그�� tristanchoi.tistory.com 1. 비메모리가 먼저 적용 (7nm부터 EUV 도입) 노광 공정은 반도체 전공정 중에 가장 난이도가 높고 중요하다. ASML이 전세계 노광 장비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을 정도다. 노.. 2020. 9. 6.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