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3 2차전지 기술 탐구: 음극재 1. 음극재의 중요성: 충전시간 리튬 배터리에서 양극활물질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하지만 양극재에서 높은 에너지를 생성하더라도 이를 저장하는 장소인 음극재가 균형 있게 받쳐주지 않는다면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충전시 음극재가 리튬이온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어야 충전 시간도 짧아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도심 내 전기차 사용자들의 더 큰 불만은 주행거리가 아니라 긴 충전시간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충전 공급 전력이 급속충전기가 50kW급, 완속충전기는 7kW급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전기차 1시간 충전시 주행거리는 약 40km에 불과하다(아래 표 참조).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가 충분히 길지 않더라도 배터리 충전시간을 크게 단축.. 2020. 8. 8. 2차전지 기술 탐구: 양극재 및 양극활물질 1. 양극재 구조 및 재료 양극재는 리튬이온전지의 4가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리튬의 공급원으로써, 전지 충/방전 시 양극재의 결정격자로부터 리튬을 방출/흡수한다. 리튬을 많이 포함한 양극재를 사용할수록 용량이 커지게 되고, 음극재와 양극재의 전위차가 크면 전압이 커진다. 배터리가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양은 배터리의 용량에 전압을 곱한 것인데, 양극재가 바로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할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리튬이온배터리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 중 양극재에 더욱 주목해볼 만한 이유다. 특히나 양극재 시장은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시스템 등의 수요가 급성장함에 따라 연평균 33% 증가해 2025년에는 275만 톤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2020. 8. 8. 2차전지 기술 탐구: 국내 3사의 기술 개발 방향 1.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체적인 기술 진화 방향 현재 대부분의 전기차용 리튬 배터리는 ①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양극활물질로 NCM, NCA 등을, ② 리튬이온을 저장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음극활물질로 흑연을, ③ 양극과 음극 사이 리튬이온 이동 매개체인 전해질로 LiPF6 , LiBF4 , LiClO4 등의 리튬염을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한다.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는 최근 논문상으로 혁신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 전기차에 적용되는 시기는 적어도 2027~2030 년 이후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향후 상용화가 되더라도 시장은 배터리 양산성을 고려한 가격 대비 성능비를 따져볼 것이다... 2020. 8. 8. 2차전지 기업 탐구: Value Chain 내 주요 업체들 2차전지는 실물경제인 산업적인 측면뿐 주식시장 측면에서도 큰 성장 영역으로 자리매김 중이다. 사실 반도체나 바이오 기술만큼 이 동네도 전문적인 동네라서 한번에 다 아울러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몇 번에 나누어서 정리하여 포스팅을 해보겠다. 오늘은 Value Chain 내 주요 업체들이 누가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1. 2차 전지의 구조와 개념 2차 전지는 사실 충전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라는 뜻이다. 그럼 1차 전지는? 우리가 한번 쓰고 버리는 일반적인 건전지가 1차 전지이다. 2차 전지가 개발된 것은 사실 상당히 오래된 일이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위 무게당 축적할 수 있는 에너지인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이를 위해서 2차 전지를 구성하는 물.. 2020. 8. 4. 반도체 기업 탐구: 하나머티리얼즈 오늘 반도체 소부장 관련 주들이 괜찮았는데, 최근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오고 오늘 52주 신고가도 기록한 하나머티리얼즈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1. 기업 개요 하나머티리얼즈는 2007년도에 설립된 반도체 제조공정 중에 Etching(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실리콘(Si) 소재의 소모성 부품(Electrode, Ring 등) 전문 제조사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 쓰이는 특수가스(N2O, Si2H6 등) 사업도 있었으나, Si 및 SiC 사업으로의 집중을 위해 이것은 최근 한솔케미칼에 매각했다. 이 회사는 다결정 실리콘 잉곳(Ingot)을 직접 그로잉 (Growing) 하고 가공하여 실리콘 부품을 만드는 일관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다. 보통 Etching 설비에서 실리콘 부품은 10~15일 마다 교체되는데,.. 2020. 8. 3. 바이오 기업 탐구: 제넥신(Genexine) 2 코로나19 백신 외 최근 이슈 및 성장 Initiative 1. 지속형 성장호르몬 GX-H9 제넥신은 성장호르몬 ‘GX-H9’의 소아 환자 대상 임상 2상 최종 결과를 지난 5월 미국 내분비학회지(Journal of the Endocrine Society) 특별호에 게재됐으며 ‘GX-H9’의 주 1회뿐 아니라 2주 1회 지속형 제형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GX-H9’은 항체융합기술(Hybrid Fc)을 적용한 지속형 성장호르몬이다. 제넥신과 한독은 주 1회 또는 2주 1회 투여를 목표로 소아와 성인 대상 ‘GX-H9’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ENDO 2020에서 발표된 ‘GX-H9’의 소아 환자 대상 임상 2상은 유럽 및 한국 10개국 27개의 병원에서 진행됐으며 2년간 데이터로 키 성장속도를 분석.. 2020. 8. 1. 이전 1 ··· 96 97 98 99 100 101 102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