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3

반도체 기업 탐구: 기술변화에 따라 영향 받는 기업들 반도체 기술 변화에 따라 영향 받는 기업들과 Valuation에 대해 잘 요약된 표가 있어 공유합니다. 눈여겨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DDR5 전환의 경우 후공정 장비/부품/기판 업체들에게 긍정적 DDR4에서 DDR5로 전환될 때, 전공정보다 후공정에서의 변화가 훨씬 클 전망이다. 전공정에서는 Cell 영역의 주변회로 설계 변화가 있으나 제조하는 공정에 서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공정에서는 DDR5 전환 시 데이 터 전송 속도 및 동작 전압 변경으로 공정 Recipe 및 장비/부품에 큰 변화가 생 길 수 있다. 따라서 DDR5 전환 시 관련 업체들의 실적 개선 폭이 크게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DDR5 전환으로 심텍 등의 PCB부품과 수동부품 업체, 유니테스트, 테크윙, 엑시 콘 등.. 2020. 9. 6.
바이오 기술 탐구: 면역항암제 4(feat. 메드팩토, 제넥신) 6.4. 그외 후보군: VISTA와 B7-H3 (1) VISTA 저해제 VISTA는 T세포보다 골수세포에 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VSIG-3와 결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VISTA를 억제할 경우 종양미세환경에서 T세포의 증식과 침투 등이 개선된다. 췌장암과 중피종, 전 립선암에 많이 발현되며, 혈액암을 타깃으로도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다. 특히 다른 면역항암제가 이렇다 할 효능을 보이지 못하는 췌장암에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더욱 기대되는 상황이다. 골 수세포에 주로 발현되기에 T세포에 반응하는 PD-1 저해제와 시너지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VISTA 저해제로 가장 앞서 있는 업체는 큐리스다. VISTA와 PD-L1을 동시에 저해하는 저분자화 합물 CA-170을 개발해 현재 비소세포폐암 대상 화학방사.. 2020. 9. 4.
바이오 기술 탐구: 면역항암제 3(feat. 메드팩토) 6.2. 두번째 후보: TIM-3 저해제 TIM-3는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T세포와 조절T세포, B세포, 수지상세포, NK세포, 대식세포에 발현되며, 밝혀진 리간드는 Galectin-9(Gal-9)과 CEACAM-1, HMGB1, phosphatidylserine(PtdSer)이다. 단독요법보다는 PD-1과 같은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요법 효능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대장암 같이 PD-1 혹은 CTLA-4 저해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 단계가 가장 빠른 TIM-3 저해제는 임상2상 중인 코볼리맙(TSR-022)이다. 테사로가 개발했으며 18년 12월 GSK가 52.7억 달러에 테사로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TIM-3 외 PD-1, LAG-3, 제줄라.. 2020. 9. 2.
바이오 기술 탐구: 면역항암제 2(feat. 메드팩토) 5. 기대가 컸던 만큼 아쉬움이 컸던 후보: IDO 저해제 PD-1/PD-L1 이후 가장 기대를 모았던 표적은 IDO였다. IDO는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을 분해해 면역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BMS와 로슈, 화이자 등 다국적 제약사가 바이오텍 으로부터 후보물질을 도입했고 PD-1 저해제와 병용투여시 초기 임상 결과가 고무적이었다. 하지만 결국 개발에 실패했다. 대표적인 실패 사례는 인사이트의 에파카도스타트다. IDO 저해제 중 가장 큰 규모로 임상3상을 진행했고, ASCO 2017에서 폐암 및 신장암 환자 대상 의미 있는 임상 결과를 발표했으며, 머크와 BMS, 아스트라제네카와 협력 관계에 있었다. 당시 에파카도스타트의 예상 매출액은 2조원을 상회 했었으나, 18년 4월 흑색종 환자 대상 .. 2020. 9. 2.
바이오 기술 탐구: 면역항암제 1(feat. 메드팩토) 얼마전 메드팩토라는 기업에 대해 정리한 내용에 대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메드팩토의 주된 연구분야인 면역항암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면역항암제의 개요: 면역항암제의 시대, 그 중에서도 면역관문억제제 지금은 완연한 면역항암제의 시대다. 화학항암제 및 표적항암제와 달리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전으로 3세대 항암제라 불린다. 다양한 방식의 면역항암제가 존재하지만 현 시점에서 제일은 면역관문억제제(암세포가 면역세포를 회피하는 통로인 면역관문을 억제해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항암제)다. 면역관문억제제의 첫 스타트는 1) 11년 BMS의 여보이가 끊었다.이후 2) 14년 머크의 키트루다와 BMS의 옵디보, 3) 1.. 2020. 9. 2.
반도체 기업 탐구: SK하이닉스 & 키옥시아 SK하이닉스가 요 며칠 바닥에서 주가가 상승했는데, 시황 전문가들은 DRAM 가격의 일부 반등이 있어서 그렇다라고 해석을 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와는 달리 주가 흐름이 부진했다. 물론, 삼성전자의 경우 스마트폰 및 다른 사업들이 있기 때문에 DRAM 가격의 반등의 효과가 희석된다고 말할 수 있지만, 같은 기간 동안 스마트폰 관련 별다른 악재가 없었고, 삼성전자의 사업부 중에 반도체가 이익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보면 삼성전자의 경우에도 DRAM 가격의 추이와 주가의 추이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K하이닉스의 주가 반등은 DRAM의 반등 때문이라기 보다는 며칠전 언론에 기사가 난 키옥시아 상장 이슈 및 도시바측의 지분 매각 소식 때문으로 보인다...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