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LG전자

by 뜨리스땅 2022. 8. 24.
728x90
반응형

전략적 제휴와 인수 등으로 로봇 DNA 를 장착해 온 LG

 

 

LG 는 삼성보다 더 먼저 로봇에 관심을 가져왔다. 이미 미국의 보사노바 로보틱스, SG 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아크릴, 로보스타, 로보티즈 등 전략적 투자와 제휴를 통해 LG 내에 로봇 DNA 를 이식해오고 있다.

 

2020 년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센터를 BS(Business Solution) 사업부문으로 배치하고 연구소도 신설했다. LG 전자는 CLOi 란 자체브랜드로 안내로봇, 홈로봇, 셰프봇, 서브봇, 살균봇 등 다양한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안내로봇, 서브봇 등이 디스플레이와 컴퓨터를 부착해 이동에 초점을 맞춘 모빌리티 기능을 위한 것이라면 셰프봇은 로봇팔(매니퓰레이터)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타사들이 로봇을 미래 먹거리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LG 에게 로봇은 판매하는 제품군으로 분류되며 이미 ‘현재진행형’이라고 볼 수 있다. 주로 판로로 선정한 곳이 공항이나 호텔같이 안내가 필요한 곳, 병원처럼 업무보조와 소독같은 환경관리가 필요한 곳, 일손이 부족해 보조 서빙이 필요한 레스토랑 같은 곳, 튀김같은 단순조리업무를 반복해서 해야하는 주방같은 곳 등이다.

 

뿐만 아니라 DX(Digital Transformation)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는 LG CNS 는 비즈니스 특성상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스별로 전세계의 다양한 장비와 로봇을 구매해 설치하고 운영해본 경험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A.B.C(AI, Big data, Cloud)에 집중해 이 분야에 특화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사용처에 H/W Solution 으로 로봇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대기업이 부정적 의미로 문어발식 경영을 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할 경우, 융복합에 유리한 구조라고도 볼 수 있다. 이미 LG 는 전기차 분야에서 다양한 계열사들의 선행 연구개발과 융복합 능력이 발현된 바 있다.

 

로봇에서도 LG U+로 인한 통신기술, LG 전자의 모터와 인버터, LG 이노텍의 비전센서, LG 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LG CNS 의 AI 와 Cloud 등은 함께 융복합되어 로봇제조와 성능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G AI 연구원은 최고 성능의 초거대 AI '엑사원'을 공개한 바 있는데 향후 로봇의 ‘판단’을 맡을 두뇌로서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출처: 하이투자증권, LG CNS, LG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328

 

로봇 산업 탐구: 5. 테크기업들의 진출 - 현대차

로봇 사용에 있어 가장 경험이 많은 자동차 회사, 모빌리티 로봇과 매니퓰레이터 로봇에 강점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자동차기업 중에서도 생산과정에서 산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가장

tristancho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