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로봇 산업 탐구: 로봇의 개요 및 시장

by 뜨리스땅 2023. 1. 3.
728x90
반응형

로봇은 산업용(제조) 로봇과 서비스 로봇으로 구분

 

• 로봇은 외부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장치를 의미

 

• 사용 용도에 따라 제조 현장의 생산 및 출하 작업을 수행하는 산업 용(제조)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되며 서비스용 로봇은 국방, 의료 등 전문 서비스 로봇과 가사, 건강, 교육 등 개인 서비스 로봇 으로 분류됨. 광의의 로봇 개념은 자율 주행차, 드론, AI스피커 등을 모두 포괄함

 

• 응용 소프트웨어가 고도화되고 최근 생활 범주에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용 로봇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최근 산업용 로 봇과 서비스용 로봇 두 영역간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는 추세

 

• 일례로 기존 제조업의 생산 공정에 활용되던 협동로봇의 경우, 의료, 푸드 등 서비스 부문에서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서비스용 로봇이 전체 로봇 시장의 성장 견인

 

• 2019년 전세계 로봇시장 매출액은 305억달러(+2.9% yoy)를 기록.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가 16.94%(yoy) 축소된 가운데, 서비스용 로 봇 시장 규모가 27.8%(yoy) 증가하며 시장 전체 성장을 견인

 

• 제조용 로봇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2014~19 CAGR)은 6.1%, 동 기간 서비스용 로봇은 22.2% 기록. 2019년을 기점으로 로봇시장 내 서비스용 로봇의 비중이 50%를 넘어섬

 

• 물류·유통(배송), 의료, 외식 등 일상 속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서비스 로봇 시장의 성장률이 산업용 로봇을 크게 상회하는 흐름이 이어질 전망

 

 

 

 

올해 산업용 로봇 설치(=판매) 대수, 최대 기록 세울 듯

 

• 전세계 산업용 로봇 설치(=판매) 대수는 2019년 자동차 및 전기/ 전자 산업에서의 수요 감소 영향으로 9.5%(yoy) 축소됐지만, 2020 년에는 중국 제조업 내 로봇 수요 확대, 북미 시장 회복 등에 기인 해 0.5%(yoy) 증가함. 코로나19 발생으로 비우호적인 환경이었음 을 고려하면 고무적인 성과로 판단됨

 

 

• 작년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는 43만 5,000대로 13.3%(yoy) 개선 됐을 것으로 전망되며 올해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북미, 유럽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로봇을 활용한 생산 공정 자동화 니즈가 증 가하며 4.1%(yoy) 개선될 것으로 기대

 

 

일반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23년까지 연평균 23% 성장 전망

 

 

• 서비스용 로봇은 크게 1)가사, 건강, 교육 등 일반(개인/가정용) 서 비스로봇과 2)국방, 의료 분야 등 전문 서비스 로봇으로 분류되며 시장 규모에 따른 비중은 각각 34%, 66%임

 

• 일반(개인/가정용)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2019년 57억 달러로 20%(yoy) 늘었고, 판매대수는 2,320만대로 34%(yoy) 증가. 2023 년 시장 규모가 121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은 23%로 전망되며 판매대수는 5,530만대로 연평균 27% 증가할 전망

 

 

• 가정용(가사지원) 로봇: 판매대수 1,860만대(2019) -> 4,860만대 (2023E), 판매액 43억달러(2019) -> 100억달러(2023E)

 

• 엔터테인먼트 로봇: 판매대수 460만대(2019) -> 670만대(2023E), 판매액 13억달러(2019) -> 19억달러(2023E)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 내 의료 로봇의 비중 가장 높아

 

 

• 전문(의료, 국방 등)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2019년 112억 달러 로 32%(yoy) 확대됐으며, 판매대수는 17만 3,000대로 32%(yoy)개 선됨

 

 

• 수술용 로봇으로 대표되는 의료 로봇 시장은 전세계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의료용 로봇 제조업 체의 약 75%가 북미와 유럽 지역에 위치. 2019년 9,000대 수준이 던 판매대수가 2023년에는 2만 6,000대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 고 대당 가격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문 서비스로봇 시장 내 의료 로봇 비중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물류 로봇 판매대수는 2019년 7만 1,000대를 기록했으며 2023년 25만 9,000대로 증가할 전망. 전세계적인 물류 센터 자동화 수요 확산세와 맞물려 자율이동(화물운송) 및 분류, 포장 등 다양한 작업 이 가능한 로봇 도입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위생에 대한 수요가 급증, 소독약 분사 등의 기능을 보유한 전문 청소 로봇 시장도 당분간 고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2020년 3만 4,400대가 판매됐으며 2023년 판매대수는 5만 4,000 대로 증가할 전망

 

• 또 접대용 로봇 시장도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선호 수혜를 보고 있어 주목됨. 2020년 음식·음료 준비용 로봇 매출액은 3,200만 달러(+196% yoy)로 대폭 증가했으며 여전히 성장 잠재력이 여전 히 큰 것으로 파악됨

 

 

 

전문 서비스용 로봇 판매대수 전망

 

• 공공환경 로봇: 2만대(2019) -> 7.6만대(2023E)

 

 

• 검사 및 유지보수 로봇: 1.5만대(2019) -> 3.7만대(2023E)

 

 

• 국방 로봇: 1.9만대(2019) -> 3.3만대(2023E)

 

 

• 필드 로봇: 1만대(2019) -> 2.2만대(2023E)

 

• 건설 및 철거 로봇: 1만대(2019) -> 2.2만대(2023E)

 

• 외골격 로봇: 0.9만대(2019) -> 2.0만대(2023E)

 

출처: IBK투자증권, IFR, 로봇산업진흥원, World Robotics

 

 

뜨리스땅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