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로봇 산업 탐구: 패러다임 변화의 주인공 ‘산업용 로봇’

by 뜨리스땅 2023. 3. 17.
728x90
반응형

1. 인간의 팔을 모방한 산업용 로봇

 

로봇은 용도에 따라 산업용, 서비스용으로 분류된다. 산업용 로봇은 각 산업의 제조현장內 제품 생산부터 출하까지 공정 내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시 사람 과 협동유무로 협동 로봇과 그 외 산업용 로봇으로 구분하고 있다.

 

 

‘인간의 팔’을 대신하는 산업용 로봇에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용 로봇은 여러 형태를 가지지만 보편적으로 인간의 규칙적인 행위의 역할을 대신한다. 허리, 어깨, 팔꿈치 등을 모방하기 위해 통상 6개의 관절축을 활용하는 점이 특징 이다. 인지, 판단, 구동 기술 발전도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1년 산업용 로 봇의 연간설치 대수는 약 50만대이며 누적 설치대수는 3.5백만대에 육박한다. 4 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시장 진입은 더욱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연간 설치대수 기준 상위 5개국이 설치량의 79%를 차지한다. 특히 중국은 52% 의 설치 점유율을 가지며, 연평균 성장률 기준 51%로 가장 높다. 전세계 연간 설치대수 평균 증가율은 31%로 높다. 반면 한국은 2%로 낮은 상황이다.

 

 

 

2. 한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중국의 산업용 로봇 설치대수 및 설치 증가율이 압도적이다. 그렇다면 “로봇을 제조하는 기업은 어디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전통적으로 로봇 개발과 제조는 일본 및 유럽內에서 진행 중이다. Fanuc(일본), Yaskawa(일본), ABB(스위스), Kawasaki(일본), Kuka(독일) 같은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 78%로 과점하고 있다. 이들 기업의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를 포함하여 금속/기계, 설비, 환경, 음식료까지 다양한 산업에 진입을 확대 중이다.

 

 

앞서 언급한 내용대로 한국의 산업용 로봇 점유율은 2% 수준으로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다. 다만 한국內 산업용 로봇은 전체 로봇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고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2021년 기준으로 로봇시장은 5.6조원, 산업용 로봇 시장은 2.8조원으로 추정되며 향후 성장 가속화에 주목할 만하다.

 

 

산업용 로봇의 매출액 규모는 2015년 2.6조원에서 2021년 2.9조원을 기록했다. 2023년 AI, 자율주행 등 4차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접목되며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시기다. 고성장에 주목하자.

 

 

 

 

 

3. 급성장하는 협동 로봇 시장

 

협동 로봇 시장 성장에 주목할 시점이다. 기존 산업용 로봇과 달리 협동 로봇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람과의 협업 유무다. 기존 산업용 로봇 사용 규정을 살펴보 면 안전펜스 설치를 필요로 하며,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적재량도 평균 200kg 수준(협동 로봇의 25kg)으로 취급 규모도 다르다.

 

 

산업용 로봇의 성장 Key는 크게 두가지다. 1) 제조원가 하락, 2) 대기업 위주에서 중견/중소업체의 수요 증가다. 산업용 로봇 성장 속 협동 로봇도 시장內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비용 또한 기존 산업용 로봇 대비 2~4배 줄어든 수준으로 긍정적이다. 중소기업의 수요 증진을 이끌 수 있는 포인트다.

 

 

2021년 협동 로봇은 약 4만대가 설치됐다. 이는 산업용 로봇 전체 설치대수인 50만대의 8% 수준이다. 2017년 협동 로봇 설치비중 3% 대비 지속 성장 중이다. 전체 시장 기준 1조원 미만에서 2025년 13조원 이상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4. 한국의 협동 로봇 시장

 

한국의 협동 로봇은 가격 경쟁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5,000만원 수준의 평균 판매 단가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00만원 초중반 수준이다. 가격 경쟁력의 이유는 자체 로봇 부품 제조이다. 협동 로봇의 원가는 감속기, 모터, 본체, 제어장치 순으로 구성된다. 아직까지 감속기는 일본 기업들이 독과점 중이나 다른 부품들은 자체 생산이 가능한 수준까지 빠르게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협동 로봇은 유의미한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지 않다. 실제 스펙 관점에서 봐도 경쟁사 대비 적재량 및 운반길이가 높지 않다. 적재량은 20kg를 넘지 못하며, 길이는 1,500mm를 넘지 못한다. 다양한 적재량 및 길이의 수요에 대응하는 협동 로봇 모델의 공급 자체가 부족한 상태다. 다만 최근 한국 제조사 및 부품 업체의 기술 경쟁력을 살펴보면 향후 글로벌 업체로의 도약도 기대해 볼만하다.

 

 

 

국내 로봇 관련 상장사는 크게 1) 로봇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을 만드는 경우, 2) 서비스용, 산업용 등 완성로봇을 제조하는 경우, 3) 각 산업에 대응하도록 로봇의 SW를 구축해주는 경우 세 가지로 나뉜다.

 

 

출처: 신한투자증권, IFR, 기업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협회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400

 

로봇 산업 탐구: 물류 로봇 시장 전망

물류 자동화 시스템 구축 수요 증가세 물류 로봇은 공장, 물류센터 등에서 포장∙분류∙적재 및 이송 과정에 활용되는 로봇. 최근 전세계적인 비대면 문화의 확산에 따른 물동량 증가, 인건비

tristancho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