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로봇 산업 탐구: 의료 로봇 시장 전망

by 뜨리스땅 2023. 1. 10.
728x90
반응형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M&A를 통해 성장 중

 

 

2020년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수술 로봇을 제작, 판매하는 인튜이티브 서지컬이 약 80%의 점유율을 기록, 관절수술 관련된 로봇 및 임플란트를 공유하는 기업들이 약 15%의 비중을 차지함

 

J&J, 지멘스 등 종합 의료 기업은 공격적인 M&A를 통해 시장 진입

 

 

 

 

 

의료 로봇, 수술 로봇 중심으로 성장

 

의료 로봇은 국내외 정해진 기준은 없으나, 수술로봇, 재활 로봇, 기타서비스로봇 등으로 구분됨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수술 로봇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재활 로봇 활용이 증가함

 

 

글로벌 의료 로봇 시장은 2020년 59억 달러에서 2025년 127억 (약 1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복강경, 정형 관련 로봇 이 각각 93억 달러, 1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이 절대적 강자

 

인튜이티브 서지컬사의 다빈치 수술 로봇이 2000년 FDA에서 승인

 

다빈치 시스템은 비뇨기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등 임상적 전문분 야에 걸쳐 70개 이상으로 사용됨

 

집도의 콘솔(집도의가 3D HD화면으로 환자 속을 보면서 집도), 환자 카트(수술 침대 근처에서 집도의 조종에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와 기구가 장착), 비전 카드(로봇 수술기 구성 요소 간을 연결, 3D HD 고화질 화면을 제공)로 구성됨

 

복강경: 복벽에 작은 구멍을 내고 그 구멍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

 

 

 

 

 

 

 

복강경 수술 분야는 인튜이티브, 바이케리어스 등이 경쟁

 

Johnson & Johnson은 2020년 오타바(Ottava)로봇 보조 수술시스 템을 공개했으나 10월 로봇수술 플랫폼이 2년 지연된다고 발표

 

미국 바이케리어스 서지컬(Vicarious Surgical)은 VR을 지원하는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FDA로부터 혁신적인 기기 프로그램(Breakthrough device program)에 선정됨

 

 

혁신적인 기기 프로그램(Breakthrough device program):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와 진단을 제공하는 의료 기기 개발, 혹은 평가 및 검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데 중점

 

2021년 원자력병원이 서비스 활용 실증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국내 미래컴퍼니가 개발한 국산 복강경수술로봇 레보아이를 도입함

 

 

 

 

 

 

인공관절 수술 로봇 시장은 메드트릭스, 스트라이커 등이 경쟁

 

미국 메드트로닉스 PLC사는 약 2조원에 Mazor Robotics를 인수한 이후 2018년 말 Marzo X 스텔스 척추 수술 시스템을 출시함

 

 

 

국내 수술로봇 기업인 큐렉소의 척추 수술로봇은 2020년과 2021 년 CE와 FDA 인증을 획득. 인공관절 수술로봇은 2021년에 CE 획득 후, 2022년 3분기 FDA 인증을 추진 중

 

 

 

 

 

글로벌 의료 수술 스타트업

 

이스라엘의 메믹(Memic Innovartion Surgery)은 2월 FDA로부터 호미니스 시스템에 대해 양성 자궁 절제술 등 특정 유형의 수술 시술에 사용할 수 있는 디노보 마케팅 허가를 획득하였고, 시리즈D 라운드에서 9,600만 달러(약 1,070억원)을 유치함

 

 

미국 네오시스(Neocis)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 로봇인 요미(Yumi)의 FDA 승인을 받았으며, 2020년 시리즈 D라운드에서 7,200만 달러 의 투자를 유치함

 

 

 

 

국내 고영테크롤로지, 큐렉소, 미래컴퍼니가 수술 로봇 공급

 

큐렉소가 정형외과 수술 로봇의 유통, 신제품 개발 및 다수의 수술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외 인증을 확보하며 사업을 빠르게 확장

 

고영테크놀로지는 뇌수술 로봇, 미래컴퍼니는 복강경 수술로봇에 서 국내 식약처 제조허가를 취득한 후, 임상 및 수술 사례를 확장하는 단계

 

 

 

 

 

 

 

보행 재활 로봇 시장은 보험 수가 문제로 성장 정체

 

보행재활로봇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보행 기능 및 균형감각이 향상 되는 효과가 검증됨

 

아직 재활 로봇을 이용한 보행 치료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수작 업 치료와 동일한 금액 책정으로 고가의 장비 도입에 부담이 큼

 

 

국내 큐렉소가 자체 기술로 모닝워크를 개발하고 공급하고 있으며, 티로보틱스는 스위스의 마이오스위스와 마이오슈트의 공동 개발 등의 MOU를 맺고 국내 시장 독점판매권을 확보함

 

 

 

 

 

 

출처: IBK투자증권, 큐렉소, 미래컴퍼티, 고영테크놀로지, BIS Research analysis, 메믹 이노베이션, 네오시스, KISTEP, 인튜이티브서지컬, Market and Market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398

 

로봇 산업 탐구: 주요 국가별 로봇 시장 정리 - 2

3. 일본 3.1. 일본은 산업용로봇 설치대수 2위 국가 2020년 기준 세계 산업용로봇의 연간 설치대수 국가별 순위에서 중국 16.8만대에 이어 일본이 3.9만대로 2위를 기록 산업용로봇은 주로 전기전자,

tristancho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