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항공우주9

방산 산업 탐구: K-방산 수출확대, 가보지 않은 길 1. 변동성이 컸던 국내 방산주 국내 방산업의 역사는 길지만 주요 방산업체들의 주식시장 상장 이력은 비교적 짧 다. 한국항공우주가 2011년 6월 30일, 현대로템이 2013년 10월 30일, LIG넥스원이 2015년 10월 2일, 한화시스템이 2019년 11월 13일에 상장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87년에 상장했지만 2014년 11월 삼성그룹에서 한화그룹 으로 인수된 바 있다. 삼성그룹 시절에는 CCTV, 칩마운터 등 민수사업이 주력이었으며 한화그룹으로 인수된 후 두산DST를 인수하고 한화시스템을 상장하는 등 방 산업체로의 면모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의 대형 방산업체들은 대부분 2010년대 이후 주식시장에 상장되었다. 국내 방산업체들의 수출이 본격화된 것이 2010년대부터이기 때문일 것이다... 2022. 10. 2.
방산 기업 탐구: 한국항공우주산업 (2) - KF-X, KF-21 2.4.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 사업 (KF-X) 차세대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Korea Fighter eXperimental, 일명 "보라매사업")은 현재 한국공군의 주력기종인 F-4/F-5 노후화에 따른 대체를 위해 사업이 계획되었으며, '13.12월 체계개발예산 편성 확정을 바탕으로 F-16+@ 개발 계획으로 추진 되고 있다. KF-X는 향후 우리 공군의 주력전투기로 사용될 예정으로 2014년 이후 우리 공군의 작전능력 및 항공산업 발전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 추진중이다. KAI KF-21 보라매(영어: KAI KF-21 Boramae) 또는 인도네시아 명칭 IAe F-33 파이팅호크(영어: IAe F-33 Fighting Hawk)는 차세대 대한민국 공군 및 인도네시아 공군이 참여하는 .. 2022. 9. 5.
방산 기업 탐구: 한국항공우주산업 22 3Q 기업 개요 2017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최대 방산업체로, 줄여서 '카이'(KAI) 또는 '한국항공'이라고도 부른다. 김대중 정부 시절 IMF 구조조정 과정에서 적자에 시달리던 항공사를 통폐합하는 일의 일환으로 1999년에 설립된 항공기 종합 개발 회사로 중요한 국가 방위 산업체이다. 국내 방산부문의 항공기 제작·판매 및 개발사업을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보잉과 에어버스의 민간 항공기 부품 개발·제작 등의 민수사업도 영위하고 있 다. 2022년 3월 말 현재 최대주주인 한국수출입은행이 동사 지분 26.4%를 보유하고 있다. 1999년 통합 당시 대한항공은 거부하고 참가하지 않았으며, 그 때문에 국방 체계 계열화에 일정기간 배제되었다가 최근 해제되기도 하였다. 2014년 현재 KAI는 흑자기업이지만 대.. 2022.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