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0

전자 부품 기술 탐구: 초전도체 LK99에 대한 논란 3 (feat. by LS전선) 8. 초전도체로 만든 전선이 존재하는가? 결론부터 말하면 YES. 생각보다 오래전에 개발되었다. 초전도 케이블 기술은 미국(울테라), 프랑스(넥상스), 일본(스미토모·후루까와) 등 전세계에서 4개국 5개 기업만 갖고 있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한국전력, 한국전기연구원, 창원대, LS전선 등에서 연구개발에 매진, 지난 2011년 9월 세계 네 번째로 교류 22.9kV 50MVA, 직류 80kV 500MW급의 초전도 케이블과 단말, 접속함, 냉각시스템,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실용화급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 이어 2014년 10월에는 세계 최초로 직류 초전도 케이블 시험 운전에 성공해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특히 초전도 케이블의 핵심 재료인 ‘초전도선.. 2023. 8. 20.
전자 부품 기술 탐구: 초전도체 LK99에 대한 논란 2 (feat. by 이온결합, 세라믹) 7. 초전도체가 상용화 되기 위한 물질적 특성 초전도체가 사용화되기 위해서는 결국 전선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초전도체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초전도체의 쓰임새 중 가장 중요하고 큰 곳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제품은 다른 여러 기기 및 설비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전선이다. 전선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대부분 구리나 구리를 주 재료로 한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즉,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최근 논란이 된 LK99를 비롯하여, 지금까지 초전도체의 성질을 띄고 있다고 알려진 물질들은 금속이 아닌 세라믹이다. 금속은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물질로 화학주기율표상의 왼쪽 하단부에 있는 원소로 구성된 물질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원소는 크게 금속, 비금속으로 구분되며, 그 중.. 2023. 8. 20.
전자 부품 기술 탐구: 초전도체 LK99에 대한 논란 1 1. 초전도체란 무엇인가? 전기의 특성상 같은 전압(V)에 전기저항(R)이 낮다면 큰 전류(I)가 흐른다. 반면 저항이 높다면 송전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스마트폰, PC를 오래 사용하면 기기에 발열이 있는 이유도 이 전기저항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이 저항이 '0'이라면? 이론상 전류는 무한으로 흐를 수 있다. 송전효율 100%의 에너지가 바로 '초전도체(超傳導體·superconductor)'다. 초전도체(超傳導體, superconductor)는 전도체로서, 전기 저항이 0Ω이 되는 초전도 현상과 마이스너 효과(반자성)가 일어나는 물질을 가리킨다. 마이스너 효과 없이 초전도 현상만 있는 것은 '완전도체' 내지 바일 금속이라고 한다. 마이스너 효과가 없으면 자기력을 이용한 기술에는 사용이 어렵다... 2023. 8. 6.
반도체 기업 탐구: ISC - 반도체 cycle 변화의 리드 1. 기업 개요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소켓 생산 업체 반도체 검사 장비 소모품인 후공정 테스트 소켓 생산 업체다. 국내외 메모리/비 메모리 부문 반도체 업체에 제품 공급 중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러버 타입 소켓, 핀 타입 소켓을 모두 생산한다. 2023년 비메모리 및 메모리 부문 매출 비중은 각 각 70%, 30%로 예상된다. 신사업인 FCCL은 mmWave 5G 안테나용 제품을 개 발하며 통신장비 및 스마트폰 제조 업체向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2001년 국내 최초 실리콘러버형(Silicone Rubber Test Socket) 소켓을 개발했다. 2003년 국내 반도체 업체와의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국내외 고객사 확대가 현재 진행 중이다. 포고핀 전문 업체인 프로웰을 인수하며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 2023. 7. 26.
소재 기업 탐구: POSCO홀딩스 - 신사업 및 지주회사로써의 가치 포스코홀딩스가 호주 철광석 광산 운영사로부터 2020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합산 7285억원의 배당금을 벌어들였다. 핵심 원재료인 철광석의 안정적인 매입처 역할을 해온 데다 최근에는 주요 배당수익원으로도 떠올랐다. 자회사에 대한 탄탄한 지배력이 바탕이 된 배당금수익에 비하면 임대수익이나 상표권 사용수익은 많지 않은 편이다. 임대수익은 본사 건물인 포스코센터 외에는 뚜렷한 임대수익원이 없고 상표권 사용수익의 경우 상표권 사용료율로 비교적 낮은 0.1%를 매기고 있다. 배당금수익 비중 압도적 - 탄탄한 자회사 지배력 바탕 포스코홀딩스는 지주부문 수익만 온전히 잡힌 해는 아직 없다. ㈜포스코에서 철강사업부문을 신설회사 ㈜포스코로 물적분할하고 나머지 지주부문을 존속시켜 포스코홀딩스로 탈바꿈시킨 것이 지난해 3월.. 2023. 7. 25.
바이오 기업 탐구: 알테오젠 Update 3 - 주요 제품 전망 4. Tergase: 2023 년 9 월 KFDA 승인 예상 히알루로니다아제 자체로도 상업성 높음 히알루로니다제는 바이오의약품의 투약 편의를 위한 SC 제형 개발에 적용가능 하지만, 그 자체로도 제품이 가능하다. 안과, 성형외과 등에서 통증 감소 또는 피부과 등 미용 시장으로 확장도 가능하다. FDA 승인 4 개 인간유래는 단 1 개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FDA 승인을 받은 4 개의 히알루로니다아제가 판매되고 있다. 비트레이즈(Vitrase, Ovine 유래, FDA 승인 2004 년 5 월). 앰파다제 (Amphadase, Bovine 유래, 2004 년 10 월), 하이다제(Hydase, Boine 유래, 2005 년 10 월), 하일레넥스(Hylenex, Human, 2005 년 12 월) 등이 .. 2023. 7. 23.
바이오 기업 탐구: 알테오젠 Update 2 - 할로자임의 특허만료 임박 3. Halozyme 의 ENHANZE® 특허 만료 임박 2020~ 2022 년 기업가치 200% 상승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할로자임(NASDAQ: HALO)은 SC 제형 개발에 처음으로 rhH20 기술을 적용시킨 바이오 기업이다. 2010 년 로슈와 계약하면서 SC 제형 개발이 본격화되었다.2022 년 말 할로자임의 시가총액은 약 80 억 달러로 2020 년 약 26 억 달러에서 200% 상승하였다. 2022 년 매출액 및 순이익은 각각 6.6 억 달러(+49%y-y), 3.2 억(+13%y-y) 달러였다. ENHANZE® 특허 연장 불확실, 2023 년 주가 급락 할로자임은 2023 년 실적 가이던스로 매출액 및 EBITDA 를 각각 8.15~8.45 억 달러(+20%y-y), 4.15~4.40억 달.. 2023. 7. 23.
바이오 기업 탐구: 알테오젠 update 1 - Hybrozyme의 가치 1. Hybrozyme의 가치 SC 제형 시장 확대 고용량 바이오의약품들의 SC 제형 전환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며, 알테오젠의 플랫폼 기술인 Hybrozyme이 적용되는 시장은 현재 초기 성장 단계로 판단된다. 환자의 투약 편의성 뿐 아니라 사회에서 부담해야하는 의료 비용 감소를 위해 바이오의약품의 SC 제형 전환은 지속될 전망이다. HybrozymeTM 플랫폼 기술의 높은 확장성 알테오젠의 Hybrozym은 비독점적 계약에 기반한 확장성이 높다. SC 제형으로 개발될 신규 오리지널 의약품 뿐 아니라 이미 SC 제형으로 판매되고 있는 글로벌 블록버스터들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개발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알테오젠의 경쟁사인 할로자임이 인간유래 재조합 단백질인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이용하여 SC 제형을.. 2023. 7. 23.
반도체 기술 탐구: SK Hynix의 HBM 패키징 기술, TSV와 MR-MUF 1. TSV HBM 기사가 나오면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기술 용어가 'TSV'이다. TSV는 'Through Silicon Via'의 줄임말로 실리콘(반도체 wafer)를 관통하는 만드는 배선, 즉 '실리콘관통전극'이다. 반도체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HBM은 여러장의 wafer에 반도체를 만들고 이를 적층하는 기술이다. 이렇게 적층된 반도체를 연결하기 위해 기판 역할을 하는 실리콘 wafer 자체를 관통해서 구멍을 뚫고 이 속에 구리(Cu)처럼 전기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는 금속 물질을 채우는 기술이다. SK Hynix는 2013년 TSV(Through Silicon Via, 실리콘관통전극) 구조를 적용한 HBM을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양산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후 고용량(High Density) 제.. 2023.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