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유, 화학, 철강, 중공업

방산 산업 탐구: 폴란드는 왜 그렇게 많은 한국 무기를 산 것일까?

by 뜨리스땅 2022. 12. 27.
728x90
반응형

1. 재래식 무기 재고의 소진

- 우크라이나 전쟁에 가장 많은 무기를 대여해 준 국가

-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기 보유하고 있던 재래식 무기 재고 소진

- 전쟁 종료 후 러시와와 긴장 관계 고조 시, 자국 국방 위한 무기 부족한 상황

 

 

 

2. 한국과 유사한 역사적 & 지정학적 배경

- 독일과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위치. 넓은 평원지역으로 침략에 취약한 지형

- 실제 2차 대전 때 독일과 러시아(구 소련)에 의한 침략 전쟁과 분단 경험

- 유럽 국가 중 성실하고 교육열이 높은 국민적 특징

- 역사적으로 공업이 발달해 온 국가

 

 

 

3. 한국만이 유일하게 재래식 무기의 지속적인 개발 및 생산 중

 

- 방산 및 무기 체계는 개발과 테스트에 십 수년 소요

- 글로벌 수출 기반이 되어야 ROI 확보 가능

- 한국의 분단 상황이 재래식 무기 체계의 개발에 정당성 부여

- 한국의 발달된 중공업/전자 산업 기반이 이를 비용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해줌

- 미국의 경우도 M1에이브람스 전차가 1992년에 마지막 생산됨. 생산된지 30년 지남. 다시 생산 라인 구축하려면 몇 년 소요

 

 

 

4. 방산 산업을 폴란드 국가 산업 성장의 축으로

 

- 무기 구입 계약의 중요한 요소인 폴란드 현지 생산 체계 구축 및 기술 이전

- 전차, 자주포의 초도 물량은 한국 수출이지만, 대부분은 폴란드 현지 생산을 통한 조달

- 향후 유럽에서는 또 다른 국지전 발생 가능. 국지전 발생시 폴란드가 무기 공급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 함

- 폴란드는 방산 산업을 국가적인 산업 및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자 하. 이를 위해 생산 기반 구축 및 기술 이전에 적극적인 한국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틀리지 않은 설명..

 

https://www.youtube.com/watch?v=QosXdkHWiqU 

 

 

뜨리스땅

 

https://tristanchoi.tistory.com/350

 

방산 산업 탐구: K-방산, 분단 70년의 고진감래

1. 수출이 모든 것을 바꾼다 국방과학기술 수준이 최상위 수준인 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무기 소요가 있을 때 수입과 국산화 개발 중에서 효용을 저울질하게 된다. 국방기술품질원의 자

tristancho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